미래이통산업 발전전략 확정…7년간 552조 생산유발
정부가 롱텀에볼루션(LTE)보다 1천 배 빠른 5세대(5G) 이동통신을 2020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대규모 투자를 추진키로 했다.정부는 민·관 합동으로 1조6천억원을 투자해 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하면 이후 7년간 331조원의 시장이 창출돼 552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개최된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5G 마스터 전략 추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미래 이동통신 산업발전전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5G 마스터 전략은 세상에서 가장 앞선 5G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삼아 ▲ 5G 시장 조기 활성화 ▲ 5G 표준화 글로벌 조성 ▲ 도전적 연구개발(R&D) ▲ 스마트 신생태계 조성 등을 추진하는 전략이다.
미래부는 5G 기술이 개인당 1Gbps급, 기지국당 100Gbps급 전송속도, 1msec급 접속속도로 4G보다 1천 배 빠른 이동통신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800MB 용량의 영화를 내려받을 때 4G인 LTE-A로 40초가 걸린다면 5G로는 1초도 안 걸린다는 설명이다.
미래부는 미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모바일 입체영상, 지능 서비스, 초고속 서비스, 고화질(UHD)·홀로그램 등 5대 핵심 서비스를 발굴해 상용화할 계획이다. 내년 12월 pre-5G 핵심서비스를 시연하고 2017년 12월 5G 핵심 시범 서비스를 실현한 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시연할 예정이다.
유럽, 중국 등과 기술 교류를 하고 공동 비전을 선도적으로 제시하는 등 국제공조를 통해 5G 표준화를 진행할 방침이다. 글로벌 주파수를 확보하고 6GHz 이상 대역에서 신규 5G 후보 대역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도 추진한다.
2020년까지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로 올라서기 위해 해외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경쟁력 있는 장비, 단말, 서비스를 위한 전주기 기술사업화(R&BD)를 진행한다.
중소기업의 5G 이동통신 R&D 참여 비중을 현재 25%에서 40%로 확대하고 단말, 기지국 장비 분야 등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중점 지원한다.
미래부는 2020년까지 세계 단말시장 1위, 장비시장 점유율 20%,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 일자리 1만6천개 창출을 목표로 민·관 공동으로 1조6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목표가 달성되면 2020년부터 2026년까지 5G 기기·장비의 수출, 내수를 통해 331조원의 매출이 발생하고 국내 통신서비스부문에서 68조원의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552조원의 생산 유발, 144조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생기고 2026년 58만명의 고용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래부는 민·관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미래부 차관이 단장을 맡고 산학연관 전문가 20명가량이 참여하는 5G 전략추진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강성주 미래부 융합정책관은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5G 기술은 정보통신기술(ICT)과 다른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창조경제의 핵심 인프라”라며 “5G 시대에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연결돼 다양한 생활정보를 활용하고 모바일을 통해 초다시점, 홀로그램 등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