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파워블로거’ 다 어디 갔지?

그 많던 ‘파워블로거’ 다 어디 갔지?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6-26 23:28
수정 2015-06-27 02: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네이버 선정제도 강화로 2008년 1092명→2014년 154명… ‘타이틀’ 거절자도 급증

‘이 포스팅(글)은 ○○브랜드로부터 원고료를 받아 작성했습니다.’

순간 의심부터 들었다. 제품 사용기를 가장한 ‘기업 광고’에 깜박 속아 넘어간 건 아닐까.

이미지 확대
7년 연속 네이버 파워블로거로 선정된 권종상씨. 미국에서 우체부로 일하고 있는 권씨가 미국 시애틀의 한 카페에서 스마트폰으로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모습을 보내왔다.  권종상씨 제공
7년 연속 네이버 파워블로거로 선정된 권종상씨. 미국에서 우체부로 일하고 있는 권씨가 미국 시애틀의 한 카페에서 스마트폰으로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모습을 보내왔다.
권종상씨 제공
이미지 확대
뷰티 파워블로거 민새롬씨가 뷰티숍처럼 직접 꾸민 본인의 방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민새롬씨 제공
뷰티 파워블로거 민새롬씨가 뷰티숍처럼 직접 꾸민 본인의 방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민새롬씨 제공
제품이나 원고료를 받고 블로그에 사용기를 올리는 ‘블로거’들은 이제 하나의 ‘직업군(群)’이 됐다. 블로거 자매가 뭉치거나 남녀 블로거가 만나 덩치를 키운 ‘기업형 블로그’가 등장한 지도 오래다. 신문, TV 못지않게 온라인의 힘이 커지면서 생긴 변화다. 덩달아 블로거들의 파워도 커졌다. ‘나 파워블로건데’라며 밥값을 퉁친다는 일부 블로거들의 ‘갑질 촌극’도 흔하디흔한 이야기가 됐다. 취미로 시작하지만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파워블로거. 그런데 요즘 파워블로거 타이틀을 거절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2008년 네이버가 선정한 파워블로거는 1092명에 달했다. 선정자는 이듬해 1378명으로 반짝 늘었다가 2010년을 기점으로 해마다 줄었다. 2010년 809명, 2011년 449명, 2012년 446명, 2013년 217명, 2014년에는 154명이 선정됐다. 7년 만에 규모가 7분의1 수준으로 줄었다. 2011년 파워블로그선정 제도를 강화한 탓이다. 네이버는 상업적 활동, 금품을 제공받은 흔적이 있는 블로거를 평가 대상에서 제외했다. 2014년에는 본인 서약 제도를 뒀는데, 여기에는 ‘상업적 포스팅 등 문제가 되는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항목이 있다.

●일부 “돈 안 되면 싫어” 파워블로거 거절

올해도 한 명이 파워블로거 타이틀을 거절했다. ‘돈 안 되는 블로그’는 싫다는 얘기다. 네이버의 한 관계자는 “과거에는 활동지수 즉 방문자 수가 많은 게 중요했으나 요즘엔 활동지수뿐만 아니라 파워블로그 선정위원회 평가와 본인 서약 등이 모두 충족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포스팅 개수나 방문자 수 등 정량적인 부분만 고려하던 네이버는 2010년 블로거들의 상업화, 갑질 등이 사회적 문제가 되자 콘텐츠 질 등을 평가하기 시작했고, 2011년 파워블로그 선정위원회를 신설해 블로거들을 솎아 내기 시작했다. 파워블로거 선정에만 약 6개월을 소비할 정도다.

‘돈 좀 받는’ 블로거들은 얼마나 받길래 ‘파워블로거 타이틀’을 마다할까. 기업, 대행사 등 블로거 마케팅 담당자들의 말을 종합해 현 시세를 정리해 봤다.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행사에 참석하지 않고 기업이나 대행사에서 건네준 자료와 이미지를 블로그에 올리기만 하면 보통 10만원을 받는다. 블로거가 사진을 새로 찍거나 정성스럽게 글을 써 포스팅하면 최대 30만~50만원까지 ‘거래’된다고 했다.

촌극 수위도 진화했다. 한 명품 홍보 대행사 관계자는 “돈 많은 럭셔리 블로거들은 다른 블로거들과 섞이기 싫다며 본인을 위한 시간을 따로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기도 한다”면서 “사진 기사를 동반해 행사장에 와서는 본인 쇼핑몰 홍보 사진을 태연히 찍어 가는 이들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행사 관계자는 “제품을 받으면 중고나라 등에 되팔기도 하고 제품 대신 현금을 달라고 요구하는 이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돈을 받고도 ‘포스팅 일 밀렸다’, ‘몸이 아팠다’는 등 정해진 기간에 포스팅을 올리지 않는 ‘배째라’ 족도 골치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유명 소수 블로거는 “변질 우려” 정중히 사양

물론 순수하게 타이틀을 거부하는 이들도 있다. 네이버가 파워블로거라고 소개하지 않아도 이미 권위가 있거나 유명한 소수 블로거들이 해당한다. 이동진 영화 평론가가 대표적인데, 그는 매번 정중히 네이버의 선정을 거절하고 있다고 네이버 관계자는 귀띔했다. 이 관계자는 “(파워블로거로 선정되면) 아무래도 노출 빈도가 많아지다 보니 스팸이나 광고 요청 메일, 원치 않는 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많아 거절하는 일도 있는 것 같다”면서 “상업적으로 변질된 블로그와 순수성을 유지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블로그는 이제 구분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미국 시애틀의 진짜 ‘우체부’ 권종상(46)씨는 2008년부터 지금까지 7년 연속 네이버 파워블로그로 선정된 ‘안녕하세요 권종상입니다’(http://blog.naver.com/josephkwon)의 운영자다.

와인으로 시작해 시사, 인문학 분야 파워블로거로 선정돼 온 그 역시 “미국에 건너온 지 25년이 지났지만 아무것도 모르고 블로그를 팔라든지 제품 행사에 와 포스팅을 해 주면 돈을 주겠다는 제의를 끊임없이 받고 있다”고 했다. 그는 그때마다 망설임 없이 ‘삭제 버튼’을 누른다.

권씨는 ‘순수한 물음’이 상업적 블로그와 본인의 블로그를 가르는 철학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그저 ‘한국 와인은 왜 비쌀까’라는 궁금증이 본격적인 글을 올리는 계기였다”면서 “지금도 스스로가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 그것을 남들과 나눠 보겠다는 생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워블로거 전문성 필수… 많은 시간·노력 투자

지난해 뷰티 부문 파워블로그로 선정된 ‘개코의 오픈스튜디오’(http://blog.naver.com/sr531)를 운영하는 민새롬(25·여)씨 역시 “(원고료는) 여태까지 받은 적이 없고 앞으로도 받을 일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가 블로그 포스팅으로 얻는 수입은 ‘0원’이다. 민씨는 ‘상업적으로 변질된 블로그 문화’, ‘블로거들의 갑질 사기 사건’ 등 일부 블로거들로 인한 색안경에 대해 “편견이 아니라 사실이다. 돈 받고 제품도 받았는데 어떻게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겠냐”면서 “다만 블로거 입장에서 보면 이해할 수 없는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나의 포스팅을 완성하기 위해 들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감안하면 대가 없이 하기는 힘든 일이라는 설명이다. 사실 민씨는 많은 글을 올리는 블로거는 아니다. 대신 한번 포스팅할 때 제대로 품을 들인다. 한 장의 사진을 건지기 위해 하루 종일 수백장의 사진을 찍고 편집을 하는 데 꼬박 하루가 걸린다. 화장 방법을 소개하는 포스팅은 하루 전날 대략적인 콘셉트를 잡고 사용할 화장품을 정리한 뒤 미리 연습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글 하나가 완성되는 데 2~3일을 투자하는 셈이다.

전문성은 필수다. 민씨는 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뒤 졸업 후 컬러리스트 기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그는 상업적 블로그와 달리 “좋은 건 좋다, 별로인 건 별로다, 추천한다, 돈 아깝다 등등 느끼는 것을 그대로 글로 옮겨 적는다. 콘텐츠 질에는 자신 있다”면서 “블로그를 통해 강의가 들어오기도 하고 신제품 출시 전 기업에서 자문을 하기도 한다”고 귀띔했다.

신수련 네이버 블로그 태스크포스(TF) 팀장은 “블로거들의 필력과 영향력이 필요한 기업들이 파워블로거를 섭외해 리뷰를 요청하는 일은 거스를 수 없는 시장의 논리일 수도 있다”면서 “블로거들에게 청렴결백을 요구할 권한이 네이버에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만큼 해야 할 일도 많다고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순수하게 블로그를 지켜 주신 분들을 꾸준히 발굴하고 소개하는 일, 더 많은 보상과 기회를 드려야 하는 일이 네이버의 꾸준한 과제이지 않을까요.”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6-2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