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물인터넷(loT)과 빅데이터가 향후 글로벌 시장을 이끌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이들 시장을 선도할 소프트웨어(SW) 개발자에 대한 주목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미 대기업들은 쓸만한 SW 개발자 찾기에 혈안이 돼 있는 상황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란 말 그대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최근 이세돌 9단과의 세기의 바둑대결로 화제를 모은 ‘알파고’도 구글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만든 최첨단 인공지능 컴퓨터라 할 수 있다.
사물에 인터넷을 주입, 언제 어디에서든 모든 사물을 인터넷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는 사물인터넷(loT)의 프로그램 또한 이러한 SW 개발자들의 몫이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도 마찬가지다.
정보통신산업정책연구원(KISD)에 따르면 2017년까지 8만 명의 개발 인력이 필요하지만, 아직 공급은 그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본격적으로 활성화 될 향후 2~3년간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수요가 최고점으로 올라가게 될 시기”라면서 “IT 인재들이 지금부터 자바 개발자 교육센터나 정부교육을 통해 실무에 투입될 수 있는 실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국비로 자바 안드로이드 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경영기술개발원교육센터는 빅데이터 교육, 자바 교육, 사물인터넷 교육 등 IT 인재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을 갖춰 관련 업계 취업준비생들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준비 중인 이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경영기술개발원교육센터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영기술개발원교육센터 제공.
경영기술개발원교육센터 관계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뽑는 기업들은 의외로 학벌이나 학점 등을 묻지 않는다. 관련분야에 적당한 실력을 갖춘 입사지원자를 뽑아 키워서 쓰려 하는 기업이 많다. 또한 채용규모도 무척 큰 편이라 스스로 꾸준히 자바 프로그래밍 등을 익혀 실력을 쌓는다면 취업의 문은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