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용자 꽉 잡은 유튜브… 네카오 넘어선 ‘부동의 No. 1’

한국 이용자 꽉 잡은 유튜브… 네카오 넘어선 ‘부동의 No. 1’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24-07-09 18:09
수정 2024-07-10 04: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월 월간활성이용자 4624만명
구글, 상반기 이용자 증가폭 1위

이미지 확대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비디오 플랫폼인 유튜브가 국내 모바일 시장에서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째 이용자 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구글 계열 애플리케이션(앱) 3개의 상반기 이용자 증가폭이 5대 앱 증가폭의 98%를 차지하면서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토종 앱을 제치고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9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의 지난달 월간활성이용자(MAU)는 4624만 6846명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국내 토종 앱인 카카오톡(4542만 5054명)과 네이버(4336만 9116명)는 2~3위를 유지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와 구글 포털은 각각 3649만 5441명과 3405만 6889명으로 4~5위를 차지했다.

상반기 이용자 증가폭에서는 구글 포털이 지난해 12월보다 280만 1061명 늘어나며 1위를 차지했다.

구글 계열 앱의 성장세에는 인기 급상승 검색어 순위 도입 효과도 상당했다는 평가다. 앞서 국내 검색 서비스인 네이버는 2021년 여론 왜곡 의혹 등에 따라 실시간 검색어 제공 서비스를 폐지한 바 있다.

구글 크롬이 84만 3967명으로 뒤를 이었고, 유튜브는 60만 1499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글 계열 앱 3개의 MAU 증가폭은 424만 6527명으로 5대 앱 증가폭(433만 1793명)의 98%를 차지했다. 지난해 말 이후 유튜브 이용자가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검색 서비스에서도 구글 포털과 크롬을 찾는 이용자가 점점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반면 네이버의 상반기 MAU 증가폭은 20만 579명에 불과했다. 카카오톡은 오히려 11만 5313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계 앱의 국내 모바일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이들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조치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모바일앱 이용자 증가는 수익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큰 만큼 구글의 법인세가 네이버의 3% 수준에 불과한 상황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24-07-1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