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올리브영이 정한 올해의 키워드는 ‘MINGLE’ [유통단신]

CJ올리브영이 정한 올해의 키워드는 ‘MINGLE’ [유통단신]

입력 2022-12-20 20:22
수정 2022-12-21 0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2 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에 방문한 고객들이 다양한 상품을 체험하고 있다. CJ올리브영 제공
‘2022 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에 방문한 고객들이 다양한 상품을 체험하고 있다.
CJ올리브영 제공
CJ올리브영은 2022년 헬스뷰티(H&B) 트렌드의 결산 키워드를 ‘밍글’(MINGLE)로 정했다고 20일 밝혔다. ‘밍글’은 다양한 소비 형태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지고 있음을 말한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엔데믹과 더불어 고물가, 고환율 등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많아지면서 하나의 메가 트렌드 대신 여러 가지 트렌드가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은 멀티 쇼퍼(Multi Shoppers)를 뜻한다. 오프라인, 온라인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라이브 방송 등 다양한 채널을 경계 없이 넘나드는 소비자가 늘어난 현상을 반영했다. I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 양극화(Inflationary Janus)를 의미한다. 일상에서 꼭 필요한 상품은 저렴하게 구매하지만 가격대가 높은 프리미엄 상품에도 지갑을 여는 ‘야누스 소비’와 연결된다.

N은 마스크 해제와 야외활동(NoMask Beauty)으로 야외활동과 관련된 상품 매출이 오름세를 보인 현상을 담았다. G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다. 올해 H&B시장은 수많은 신생 브랜드가 등장하며 인기 브랜드와 각축전을 이뤘다. L은 삶의 즐거움(Life Pleasure)으로 건강, 삶의 질을 높이는 ‘노라인 언더웨어’ 등 라이프 스타일 관련 매출이 상승한 트렌드를 내세웠다.

E는 취향을 찾는 체험형 소비(Exploring New)가 주목받았던 트렌드를 설명한다. 올해는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는 제품을 찾고자 직접 체험해 보는 소비 형태가 크게 늘었다. 올리브영의 결산 키워드는 연간 1억 1000만건의 고객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2022-12-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