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신한, 아쉬운 KB… ‘현지화 전략’ 엇갈린 은행

웃는 신한, 아쉬운 KB… ‘현지화 전략’ 엇갈린 은행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입력 2025-05-07 00:30
수정 2025-05-07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한, 베트남·日서 두 자릿수 이익
KB -834억원, 2년 연속 ‘마이너스’
하나 1300억원·우리 2100억원 달성

이미지 확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시중은행들이 해외에서는 ‘현지화 전략’으로 성장세를 이어 가거나 글로벌 경기 침체 속 ‘적자의 늪’에 빠지는 등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6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연결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이 해외법인에서 거둔 당기순이익은 약 8287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7998억원) 대비 3.6%(289억원) 늘어난 수치다.

은행별로 보면 지난해 신한은행이 국내외 시장 모두에서 ‘리딩뱅크’ 자리를 지켰다. 신한은행 해외법인 10곳의 지난해 합산 순이익은 5721억원으로 2023년(4824억원)보다 18.6%(897억원) 늘었다. 자산 규모가 가장 큰 신한베트남은행과 SBJ은행(일본)이 각각 순이익을 13.4%와 17.0% 늘리며 실적을 받쳐 줬다. 카자흐스탄 은행에서도 1030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하나은행도 해외법인 11곳이 2년 연속 흑자를 내며 외연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해외에서 총 13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는데, 규모 면에서는 우리은행에 뒤지지만 2023년(1129억원) 대비 15.2% 늘었다. 인도네시아 법인에서 440억원으로 가장 높은 순이익을 거둔 가운데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지분 15%를 인수하며 2대 주주로서 1175억원의 이익을 봤다.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해 해외에서 다소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해외법인 11곳에서 총 2100억원의 순이익을 냈지만 전년(2279억원)보다 179억원(-7.9%)가량 줄었다. 경기 침체를 겪는 캄보디아 법인의 적자 전환(-147억원)이 타격을 줬다.



지난해 ‘리딩 금융’ 자리를 지킨 KB금융지주의 최대 계열사 KB국민은행은 해외에서 고전하고 있다. 해외법인 5곳에서 834억원의 적자를 내며 2023년(-234억원)보다 적자폭을 600억원가량 키웠다. 2020년 경영권을 확보한 인도네시아 법인 KB뱅크(옛 부코핀은행)가 낸 2410억원 순손실 영향이 컸다. 다만 올 1분기 해외 순이익이 약 292억원으로 공시되면서 올해는 해외사업 흑자 전환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2025-05-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