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는 2일 환경부와 공동으로 산업계의 ‘혁신과 기술력’을 토대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과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해법을 모색하는 최고경영자(CEO) 주도의 고위급 민관 플랫폼인 ‘제15회 KBCSD 리더스 포럼’을 열었다. 행사에는 산업계, 정부, 주한 대사관, 해외 주정부, 국제 상공회의소, 언론, 학계 등에서 500여명이 참석했다.
이미지 확대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의 제15회 리더스 포럼 단체 사진. KBCSD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의 제15회 리더스 포럼 단체 사진. KBCSD 제공
이번 포럼의 주제는 ‘ESG·녹색산업의 글로벌 시장창출을 위한 표준선도국 도약’으로 점차 강화되는 글로벌 ESG 규제와 보호주의적 친환경 산업정책 기조하에서 관련 해법을 논의했다. 신사업과 관련해서는 기술표준화 및 녹색금융 조달을 위한 방안도 협의했다.
이경호 KBCSD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환경과 무역의 상호의존성이 커지면서 전세계적으로 통용할 수 있는 친환경 표준 형성을 통해 국가 간 공정한 경쟁의 장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자사의 제품 생산방식을 탄소중립 기준으로 표준화함으로써 녹색산업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모색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지는 환영사에서 허동수 KBCSD 명예회장(GS칼텍스 명예회장)은 “국내 산업계가 ESG·녹색산업 표준의 ‘룰 세터’가 되기 위해서는 선결 과제로 기후 리스크 관리 계획을 도입한 비즈니스 운영방식의 혁신, 무탄소 에너지의 국제 탄소감축 인증, ESG 자본시장 진입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제도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