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서치’ 유료구독→일반 공개
웹 브라우저 검색 엔진 설정도 가능
네이버 ‘AI 브리핑’ 서비스로 맞불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와 개발사인 오픈AI의 로고. AFP 연합뉴스
글로벌 대표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오픈AI가 ‘챗GPT’의 검색 기능을 개방하면서 글로벌과 국내 검색 엔진 시장 1위 업체인 구글과 네이버가 긴장하고 있다.
오픈AI는 16일(현지시간)부터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챗GPT의 검색 기능인 ‘챗GPT 서치’를 출시한다. 해당 서비스는 지난 10월 말 출시 당시 챗GPT 플러스 등 유료 구독자에게만 제공했는데, 이날부터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에서 챗GPT 계정에 로그인만 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에서 기본 검색 엔진으로도 챗GPT 서치를 설정할 수 있다.
통상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관련 정보가 담긴 웹페이지 내역이 뜨지만 챗GPT의 경우 필요한 정보를 AI가 답변해 준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정보가 미흡하면 원하는 답변이 나올 때까지 대화에서 추가 질문을 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다만 검색 기능이 강화됐음에도 현재까진 챗GPT에서 ‘오늘 서울 날씨’와 같은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진 않는다. ‘기상청 날씨 정보’ ‘네이버 날씨’ ‘구글 날씨’와 같은 사이트를 제공해줄 뿐이다. 추후 실시간 정보까지 더해지면 구글이나 네이버와의 정면 승부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챗GPT나 퍼플렉시티와 같은 생성형 AI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구글도 시장 점유율 유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 세계 검색 엔진 시장점유율에서 구글은 90.0%를 차지할 만큼 독보적이지만 1년 전(91.5%)과 비교하면 소폭 하락했다. 반면 챗GPT 기능을 일부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 빙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3.2%에서 3.9%로 오히려 상승했다. 구글은 검색어에 따라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개요’를 표시하는 등 생성형 AI 활용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웹사이트 분석업체 인터넷트렌드 기준 국내에서 66.1%의 점유율을 확보한 네이버도 챗GPT에 대항할 만한 서비스 준비에 힘을 쏟고 있다. 네이버는 내년 상반기 자사의 생성형 AI 서비스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AI 브리핑’을 통해 개인화된 맞춤형 결과를 제공할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