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아 사회부 기자
최근의 노르웨이 총기 난사사건은 다문화 갈등에서 비롯된 극우적 반동이었음이 드러났다.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다문화 갈등이 새삼 관심을 끈다. 전문가들은 노르웨이와 같은 참극을 겪지 않으려면 우리가 먼저 그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을 쏟아냈다. 언론도 “다문화는 세계적인 추세다. 그들을 감싸고 보듬자.”고 판에 박힌 목소리를 반복하고 있다.
그런 국내 외국인에게 따뜻한 시선을 보내자는 보도가 나간 뒤 항의 메일이 빗발쳤다. “외국인 범죄·위장결혼·국적 세탁·불법체류 등 우리의 다문화정책을 악용하는 사례가 많으며, 프랑스 등 선진국에도 반다문화 정서가 엄연한데 그런 건 왜 묵살하느냐.”는 내용이었다. 처음엔 다문화를 경계하는 극우주의자들의 행패려니 했다. 그러나 다시 본 그들의 편지는 다문화를 인정하고 있었다. 공생은 필요하지만 그들을 약자로만 보고 한쪽 입장만을 기사화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었다.
일부는 내용이 일관되고, 논리도 정돈돼 있었다. 그 대목에서 기사들을 다시 살펴봤다. 거기에는 우리의 노력만 담겼을 뿐 외국인들의 ‘말’은 빠져 있었다. 인터뷰도 대부분 외국인을 약자로 간주하고 있었다.
다문화정책의 대의는 ‘우리’와 ‘그들’이 구별 없이 평등한 대우를 받는 데 있다. 그렇다면 외국인도 한국에서는 한국법을 따라야 한다. 우리가 그렇듯 그들도 한국에서는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은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우리에게도 어느새 현실이 되어버린 다문화 갈등을 해소하려면 외국인들의 노력도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다문화는 항상 반쪽 문화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jin@seoul.co.kr
2011-08-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