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외래관광객 1000만시대/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외래관광객 1000만시대/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1-09-21 00:00
수정 2011-09-21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65년 제작된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은 ‘영화관광’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영화 개봉 이후 촬영지였던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 할슈타트 등지에는 세계 각국 관광객들의 발길이 줄을 이었다. 오스트리아 관광부는 자국 관광수입의 40%를 사운드 오브 뮤직이 창출한다고 했으니 그 위력을 짐작할 만하다. 해마다 8월에 개최되는 영국 에든버러 축제에는 2만명 이상의 공연예술가가 몰려들어 각종 공연을 선보인다. 이들을 보기 위해 250만명의 관광객이 찾으니 축제가 에든버러 경제의 버팀목인 셈이다. ‘고용 없는 저성장’시대를 극복할 대안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광산업을 꼽고 있다. 세계 관광산업 규모는 2010년 5조 7000억 달러에서 10년 뒤인 2020년에는 11조 1000억 달러로 두배 가까이 늘어나고, 같은 기간 관광객은 9억 4000만명에서 16억명으로 1.7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규모도 올해 2억 6000만명에서 2021년에는 3억 200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관광협의회가 발표한 자료다.

우리나라에서 외래관광객을 집계하기 시작한 것은 1962년으로 당시 입국자는 1만 5000여명이었다. 100만명을 돌파한 것은 16년 뒤인 1978년이었으며 500만명을 넘어선 것은 2000년으로 532만명이었다. 지난해에는 879만여명이 우리나라를 찾아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올 8월까지 618만명이 입국, 사상 최초로 1000만명 돌파에 대한 기대를 부풀리고 있다. 그러나 관광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세계 1위 관광국 프랑스(7680만명)와 중국(5570만명) 등과는 격차가 크다.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1인당 관광소비액도 1990년 1203달러에서 지난해 1108달러로 뒷걸음질쳐 외형성장에 못지않게 질적 개선에도 많은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관광산업도 역시 중국이 ‘큰손’이다. 1993년 374만명이던 중국인 해외 관광객은 17년 만에 13배가 늘어 지난해 5000만명을 넘었다.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4% 수준인 연간 200만명에 이른다. 세계관광기구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2020년 중국 관광객은 1억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 중 10%만 우리나라로 발길을 돌리면 외래관광객 1000만명을 신규 창출, 2000만명도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우리로선 세계 최대의 시장을 이웃에 두고 있는 만큼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차별화된 상품과 콘텐츠를 개발하면 전혀 불가능한 꿈의 수치만은 아닐 것이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1-09-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