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편작(扁鵲)에게 “당신은 의술에 있어서 신(神)”이라고 하자 편작은 고개를 가로저었다. 의술에 있어 자신의 큰형이 가장 뛰어나고, 둘째형이 그 다음이며, 자신이 꼴찌라고 했다. 하지만 돈은 자신이 가장 많이 벌고, 그 다음 둘째형, 그 다음은 의술이 가장 뛰어난 큰형이라고 했다. 이유인즉 큰형은 사람들이 병이 나지 않도록 했고, 둘째형은 작은 병이 큰 병이 되지 않도록 했고, 자신은 큰 병이 되어야 이를 발견하고 고친다는 것이다.
중국 주나라 때 전설적인 명의인 편작. 괵나라 태자의 급환을 고쳐 죽음에서 되살려낸 편작이건만 자신을 하잘것없는 의사로 낮췄다. 과연 천하의 명의다운 태도다. 편작의 지적처럼 의사도 다 똑같은 의사가 아니다. 실력이 출중한 의사가 있는가 하면, 돈벌이에 급급한 의사도 없지 않다. 실력 있는 의사도 능력만 뛰어난 이가 있는가 하면, 인품까지 갖춘 의사도 있다. 지금 병원에도 서비스 개념이 도입돼 의사들도 많이 변했다고 하지만 친절하지 않은 의사들이 여전히 많은 것이 사실이다.
1993년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연세의료원이 도입한 ‘환자의 권리장전’에서 ‘모든 환자는 인간으로서의 관심과 존경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내용을 첫째 항목으로 명시한 것도 환자들 위에 ‘군림’하는 의사들을 향한 메시지라고 봐야 할 것이다. ‘수단의 슈바이처’로 불리던 고 이태석 신부가 지난해 선종 이후에도 여전히 우리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것은 아프리카 수단에서 펼쳤던 인술(仁術) 때문이다. 그는 진흙과 대나무로 움막 진료소를 만들어 하루 200~300명의 환자를 돌본, 가난한 이들의 따뜻한 의사였다.
최근 한 미국의 80대 환자가 시카고대 병원에 “앞으로 환자와 소통하는 의사를 많이 배출해 달라.”는 취지로 480억원을 쾌척했다. 담당 의사가 최선을 다해 자신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고, 환자의 눈높이에 맞춰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태도에 감동 받았다는 것이다. 담당 의사인 시글러 박사는 “의사가 치료과정에서 질병에만 관심을 두고 환자들을 소외시키고 있다.”며 “의사와 환자들의 소통이 원활할 때 치료 효과가 커진다.”고 말했다고 한다.
아픈 것도 서러운데 ‘아랫것’처럼 환자를 대하는 의사들의 거만하고 무례한 태도를 병원에서 한번쯤 경험했다면 정말 공감하는 지적이 아닐 수 없다. 의사의 따뜻한 위로와 격려, 그 자체가 의술이다. 성적 순이 아닌 인성(人性)이 꼭 필요한 직업이 바로 의사라는 사실을 의사들만 모르는 것은 아닐는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중국 주나라 때 전설적인 명의인 편작. 괵나라 태자의 급환을 고쳐 죽음에서 되살려낸 편작이건만 자신을 하잘것없는 의사로 낮췄다. 과연 천하의 명의다운 태도다. 편작의 지적처럼 의사도 다 똑같은 의사가 아니다. 실력이 출중한 의사가 있는가 하면, 돈벌이에 급급한 의사도 없지 않다. 실력 있는 의사도 능력만 뛰어난 이가 있는가 하면, 인품까지 갖춘 의사도 있다. 지금 병원에도 서비스 개념이 도입돼 의사들도 많이 변했다고 하지만 친절하지 않은 의사들이 여전히 많은 것이 사실이다.
1993년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연세의료원이 도입한 ‘환자의 권리장전’에서 ‘모든 환자는 인간으로서의 관심과 존경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내용을 첫째 항목으로 명시한 것도 환자들 위에 ‘군림’하는 의사들을 향한 메시지라고 봐야 할 것이다. ‘수단의 슈바이처’로 불리던 고 이태석 신부가 지난해 선종 이후에도 여전히 우리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것은 아프리카 수단에서 펼쳤던 인술(仁術) 때문이다. 그는 진흙과 대나무로 움막 진료소를 만들어 하루 200~300명의 환자를 돌본, 가난한 이들의 따뜻한 의사였다.
최근 한 미국의 80대 환자가 시카고대 병원에 “앞으로 환자와 소통하는 의사를 많이 배출해 달라.”는 취지로 480억원을 쾌척했다. 담당 의사가 최선을 다해 자신에게 용기를 북돋워 주고, 환자의 눈높이에 맞춰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태도에 감동 받았다는 것이다. 담당 의사인 시글러 박사는 “의사가 치료과정에서 질병에만 관심을 두고 환자들을 소외시키고 있다.”며 “의사와 환자들의 소통이 원활할 때 치료 효과가 커진다.”고 말했다고 한다.
아픈 것도 서러운데 ‘아랫것’처럼 환자를 대하는 의사들의 거만하고 무례한 태도를 병원에서 한번쯤 경험했다면 정말 공감하는 지적이 아닐 수 없다. 의사의 따뜻한 위로와 격려, 그 자체가 의술이다. 성적 순이 아닌 인성(人性)이 꼭 필요한 직업이 바로 의사라는 사실을 의사들만 모르는 것은 아닐는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1-09-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