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원규 소설가
그후 필자는 광화문 사거리를 한 시간 넘게 배회했다. 한 번 고장 난 내비게이션은 작동되지 않았고, 약속 장소는 기억 속에서만 맴돌 뿐 막상 내비게이션 없이 찾아가려니 정확한 위치가 생각나지 않았다. 문제는 그 약속 장소가 평소에 자주 가던 곳이란 사실이다. 그렇게 익숙하게 오가던 장소를 찾아갈 때마다 매번 내비게이션과 스마트폰에 의지했기에 막상 두 전자기기의 성능이 아웃되자 기억을 아무리 더듬어도 찾을 수 없었다. 결국 그날의 약속은 엉망이 되고 말았다.
웃지 못할 해프닝이 있은 후 문득 옛 기억을 떠올렸다. 휴대전화가 부재하던 필자의 중학교 시절엔 친구를 만나기 위해 부러 약속시간과 장소를 잡을 필요가 없었다. 익숙하게 만나던 곳이 있었고, 언제나 그 장소, 비슷한 시간에 모이곤 했으니까. 돌이켜 보면 그런 식으로 친구를 만났던 과정에서 약속 장소를 망각하거나 통화를 못해 노심초사한 일은 없었던 걸로 기억한다. 지금과는 통신 수단의 개념조차 다른데 말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지금은 다르다. 우선 길 찾기가 어려워졌다. 내비게이션이란 기기가 부재하던 시절보다 더 어려워진 것 같다. 이는 물론 상대적이다. 지금은 GPS, 인터넷 웹지도 등등의 테크놀로지가 번지수까지 짚어내는 기술력을 과시한다. 이젠 초행길이나 기억하기 어려운 골목 어귀라 해도 찾아가는 데 어려움은 없어졌다. 그러나 이 경우 ‘만약’이란 변수를 가정하면 상황이 달라진다. 만약이란 변수가 실제 상황이 될 경우 우리는 일단 길 찾기의 가능성조차 상실할지도 모른다. 이는 단순한 심리적 상태만을 뜻함이 아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의지해 오던 지지기반이 중단되었을 때 대응능력이 과연 존재하는지를 묻는 것이다.
여기에 추가되는 또 하나의 변수, 지금 스마트폰이 방전되어 문자·전화번호·인터넷 검색·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그 어느 것도 활용할 수 없는 정보 마비를 맞이할 경우 우리는 완전히 길을 잃게 된다. 이른바 우리의 인지체계를 지탱해 오던, 당연한 것으로 믿어 오던 소통의 기반을 더 이상 믿지 못하게 되는 불안에 예속되는 것이다.
그래서 선택한 현대인의 방법이란 게 불안의 요소를 아예 머릿속에서 잊게 해줄 정도의 수준으로 정보 기반의 완성도를 높이는 일이 전부가 되어버렸다. 체계를 강화하고 오류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 정도. 그러나 우리는 불안을 잊기 위한 노력 속에서 결여되는 한 가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어디에 있는가? 그리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 이 질문은 온전히 사변적이지도, 실제적이지도 않지만 오늘 우리의 삶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의미로 부각되었다. 정보의 유용성이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든 현대사회는 정보의 가능성을 통해 무엇을 보며 어디로 가려 하는지 그 답을 찾고자 한다.
오늘의 한국사회는 중요한 선택의 순간을 앞두고 있다. 모두를 위한 최선의 선택을 추구하는 시도 역시 길 찾기와 다르지 않다고 보인다. 바르게 길을 찾는 방법은 무엇일까. 답은 자명하다. 우리의 길 찾기를 가로막는 돌을 치우는 것, 그 엄청난 장애가 무엇인지 근원적인 것에 대해 고민하는 것, 혼자서 고민하기 힘들다면 함께 머리를 맞대는 연대의 모색이 답이다.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물음이 여전히 유효하다면 말이다.
2012-03-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