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승자의 저주/오승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승자의 저주/오승호 논설위원

입력 2012-09-28 00:00
수정 2012-09-28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꽃의 나라 네덜란드에서는 화훼 경매를 할 때 최종 낙찰가를 결정하는 방식이 좀 특이하다고 한다. 최종 낙찰가가 경매참가자들이 제시하는 최고금액이 아니라 두 번째 높은 가격,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가격에서 정해진다. 구글은 네덜란드식 경매를 잘 활용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공개(IPO)를 할 때 최고가를 적어낸 주식 구매 희망자에겐 차점 가격으로, 두 번째로 높은 가격을 제시한 사람에겐 차차점자의 가격으로 매도하는 방식으로 주식을 모두 판매했다. ‘승자의 저주’(Winner’s Curse)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경매로 소개되는 예다.

기업 성장을 위한 투자는 인수·합병(M&A), 연구·개발(R&D), 증권,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진다. 특히 M&A는 기업들이 외형을 키우기 위해 선호하는 기법이다. 규모가 커질수록 원가 감소 등으로 인해 이익이 커질 수 있다는 규모의 경제를 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애플이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는 M&A로 큰 기업들이다. 현재의 부(富)를 희생시키더라도 미래의 불확실한 부를 얻기 위해 투자하는 기업가정신은 필요하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실패를 두려워해 투자를 망설였다가 더 많이 투자하는 기업에 시장을 잠식당하기 쉽다. 정보기술(IT) 산업에서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은 투자가 부족한 게 주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 따르면 2010년 기준 국내 1600여개 소프트웨어기업의 R&D 투자액은 8069억원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7.5%에 불과하다. IT 산업의 패러다임이 소프트웨어 위주로 급속 재편된 반면 투자를 소홀히 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에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을 내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제프리 페퍼와 로버트 서튼은 공저 ‘증거경영’(Hard Facts)에서 특정 기업에만 적용될 수 있는 전략이나 기업문화, 사업 모델 등을 무분별하게 다른 기업들에 적용하면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많은 기업들은 최상의 증거를 토대로 기업 경영과 관련한 의사결정을 내리기보다는 다른 기업의 사례들을 무작정 모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증거에 기반한 기업 경영은 한국의 기업 경영자들에게 하나의 도전임과 동시에 기회가 될 것이 분명하다고 피력한다. 백과사전 외판원에서 재계 31위 대기업을 일궜으나 무리한 M&A로 위기를 맞은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이 음미해 볼 만한 지적인 것 같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2-09-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