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신일 에델만코리아 전무
세계적으로는 글로벌 경제 위기 등으로 인해 전년도 57%에서 54%로 하락했지만 우리나라는 전년도 47%에서 소폭 오른 51%를 기록했다. 아직은 글로벌 평균 신뢰도인 54%보다는 낮지만 2012년 44%, 2013년 47%로 50% 미만의 저신뢰 국가로 구분되다 올해는 중립지대로 올라서게 됐다. 이는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50% 이상의 국민지지를 받고 있는 점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전반적으로 58%에 달하는 비정부기구(NGO)의 높은 신뢰도가 이 같은 결과에 크게 기여했지만 기업(32%), 정부(39%)의 낮은 신뢰 수준이 발목을 잡은 셈이었다.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는 48%였다.
특이한 점은 별도로 조사된 오피니언리더 그룹에 비해 일반 국민들의 불신이 훨씬 높았다는 점이다. 우리 국민의 냉소적인 의식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더욱 심각했다. 어떤 사안을 10번 접할 때 믿는 비율이 우리는 22%에 불과했으며 글로벌 평균 32%보다 훨씬 낮았다. 이는 통계청의 ‘2013 한국사회동향’ 조사에서 다른 사람을 믿을 수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20%에 불과한 것과도 비슷한 수치였다.
저신뢰 상황은 다른 나라에서 우리를 볼 때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기업의 본사를 갖고 있는 17개 나라에 대한 별도의 조사에서 한국의 신뢰도는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스페인·이탈리아와 비슷한 54%에 그쳤다. 일본 74%와는 무려 20% 포인트나 차이가 난다. 즉 스페인(53%), 브라질(42%), 러시아(38%), 중국(36%), 인도(35%), 멕시코(34%) 등 5개국보다는 높지만 이탈리아(55%)보다 낮은 11위였다. 독일(80%), 스웨덴(79%), 스위스(79%), 캐나다(78%), 영국(75%), 일본(74%), 네덜란드(71%), 미국(68%), 프랑스(67%) 등 전통적인 선진국들은 여전히 높은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즉 삼성, 현대자동차 등 초우량기업조차 본사가 한국에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평가절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수치로 반영된 셈이다.
끝으로 이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 투명 운영과 소통 등이 제시됐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공감 비율이 79%에 달해 향후 정책이나 마케팅 활동에 있어 참여 방안을 늘리는 것은 의미가 있어 보인다. 비정상의 정상화라는 국가과제에 신뢰 확산이 포함되길 바란다. 내년에는 우리나라도 신뢰국가의 기준인 60%를 넘어서길 기대해 본다.
2014-02-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