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재옥 원광대 초빙교수·평화협력원 부원장
문 후보자가 정부 여당의 뜻대로 총리에 취임할 수 있을지, 아니면 야당의 계획대로 결국 낙마하게 될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가 없다. 정치의 세계에서 하루는 보통사람의 일생보다 긴 시간이라는데, 앞으로 20일 동안에 어떤 돌발 상황이 발생할지 알 수가 없고, 핫(hot) 이슈도, 그보다 더 ‘핫’한 이슈가 터지면 우선순위가 밀리면서 대충 다뤄지고 마는 법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여당의 목표와 야당의 전략을 밀어 낼 만큼 엄중한 대형사건이 터지지 않는다면 여야 간의 공방은 계속될 것이고, 그만큼 국력은 낭비된다고 봐야 한다.
대통령이 고심 끝에 문 후보자를 골랐는지 신임이 높은 측근이 제시한 안을 그대로 수용했는지 필자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이건 분명히 안다. 이렇게 온 국민의 여론을 양분시키고, 또 시끄럽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 설사 총리가 된들 그분이 제대로 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우선 야당이 국회 안에서 사사건건 총리의 발목을 잡을 것이다. 진보성향의 시민단체와 종교단체들도 거리에서 계속 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저항과 반대가 일과성으로 끝날 것 같지 않다. 지속성을 가질 것이고 호소력도 있을 것이다. 국가 지도급 인사로서 문 후보자의 역사관과 국가관이 절대 다수의 국민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의 고위직 인사는 출범 초기부터 유난히 험난했다. 집권 초 김용준 총리 후보자의 낙마,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의 해프닝, 안대희 총리 후보자의 자진 사퇴, 이번 문 후보자 관련 논란까지 바람 잘 날이 없었다. 이렇게 되면 결국 박근혜 대통령의 인사정책이나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인사가 만사(萬事)라는 말도 있고 인사가 망사(亡事)라는 말도 있다. 인사를 잘하면 만사가 잘 풀리지만 인사를 잘 못하면 만사를 망친다는 뜻이다.
박 대통령과 측근들에게 인사와 관련된 고사(故事) 하나를 소개하고 싶다. 중국 역사에서 가장 정치를 잘했다 해서 명군 중의 명군으로 꼽히는 당태종이 ‘정관(貞觀)의 치(治)’로 칭송받는 정치를 할 수 있었던 것은 인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 태종은 황제 후계권을 놓고 형과 경쟁해서 이겼다. 그런데 집권 후 경쟁과정에서 형의 편에 서서 자신을 죽이려 했던 위징(魏徵·580~643)을 직접 만나보고는 그를 간의대부로 중용하고 재상으로까지 승진시켰다. 자신을 죽이려 했다는 사실보다 그의 식견이 가슴에 와 닿았던 것이다. 당 태종이 위징에게 제왕은 무엇을 중시해야 하는가를 묻자 위징은 삼경훈(三鏡訓), 즉 동경(銅鏡), 사경(史鏡) 그리고 인경(人鏡)을 말했다. 세 개의 거울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뜻이다. 동경은 매일 아침 자기를 비추어 보는 거울이다. 사경은 역사 공부를 통해서 국가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잡아 나가라는 뜻이다. 마지막 인경은 사람을 알아보고 골라서 쓰는 거울이다.
문 후보자는 이 세 가지 거울 중 두 번째 ‘사경’과 관련해서 논란의 대상이 돼 있고, 박 대통령은 ‘인경’과 관련해서 의문의 대상이 돼 있다. 역사관과 국가관이 많은 국민들과 다르면서도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는 총리로서 국민들을 잘 이끌어 나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런 총리에게 국정 개혁을 맡겨도 될지 박 대통령은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박 대통령은 지금부터라도 삼경훈을 마음에 새기고, 인사 문제를 현명하게 풀어 나가기 바란다.
2014-06-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