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에서 크고 작은 자연재해가 빈발하고 있다. 재해나 재난은 재산상 손실 외에도 수많은 인명을 앗아가고 그에 따른 심각한 후유증을 남긴다.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는 추세에 맞춰 외국어 재난방송 및 자막 안내를 제안하고 싶다.
23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최대 자연재난 중 하나로 기록된 인도양 쓰나미(지진해일)가 발생한 지 10주년을 앞두고 있다. 2004년 12월 26일 크리스마스 다음날 오전 발생한 쓰나미는 인도양 연안 12개국을 강타했다. 23만여명이 숨지고, 150만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필자는 경찰관으로서 지난 8월 민방위훈련 때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근무하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공습경보 발령 즉시 안내방송을 듣고 통제에 따라 인근 지하 대피소로 이동해야 함에도 안내방송을 전혀 이해하지 못해 계속 관광하는 것을 보고 재난상황, 민방위 훈련 시 외국어 동시방송과 대형 전광판에 자막 안내를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재난 주간방송사인 KBS, 지상파와 종편, 보도전문채널에서 자연재해, 인적재난, 테러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간략하게 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으로 안내방송 및 자막 안내를 하면 외국인이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비상대피 장소로 대피할 수 있다. 외국인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대한민국이라는 것을 알리게 돼 국격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경규 서울 3기동단 경위
23만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최대 자연재난 중 하나로 기록된 인도양 쓰나미(지진해일)가 발생한 지 10주년을 앞두고 있다. 2004년 12월 26일 크리스마스 다음날 오전 발생한 쓰나미는 인도양 연안 12개국을 강타했다. 23만여명이 숨지고, 150만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필자는 경찰관으로서 지난 8월 민방위훈련 때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근무하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공습경보 발령 즉시 안내방송을 듣고 통제에 따라 인근 지하 대피소로 이동해야 함에도 안내방송을 전혀 이해하지 못해 계속 관광하는 것을 보고 재난상황, 민방위 훈련 시 외국어 동시방송과 대형 전광판에 자막 안내를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재난 주간방송사인 KBS, 지상파와 종편, 보도전문채널에서 자연재해, 인적재난, 테러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간략하게 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으로 안내방송 및 자막 안내를 하면 외국인이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비상대피 장소로 대피할 수 있다. 외국인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대한민국이라는 것을 알리게 돼 국격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경규 서울 3기동단 경위
2014-12-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