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수정 칼럼] 니체는 청춘에 읽혀야 한다/수석논설위원

[황수정 칼럼] 니체는 청춘에 읽혀야 한다/수석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4-01-03 02:15
수정 2024-01-03 0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흔에 읽는 니체, 쇼펜하우어
스물에 읽으면 사회효용 커져
인간 상상력은 AI보다 한 수 위
인문학 진흥, 책임 부처 있어야

이미지 확대
황수정 수석논설위원
황수정 수석논설위원
서점에 갈 때마다 궁금하다. 베스트셀러 ‘마흔에 읽는 니체’를 보면서 드는 생각.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를 왜 마흔에 읽어야 하는 걸까. 스물, 서른, 쉰도 아닌 하필 마흔 살에. 세태를 귀신처럼 읽는 출판 기획자들은 니체를 왜 불혹의 독자들에게 정조준했을까. 철학서를 소비하기에 시간적·경제적 조건이 최적화한 독서층이 그들이라고 판단했을 터.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도 잘 팔린다. 이 시리즈의 인기는 니체와 쇼펜하우어 자체에 있지 않은 것 같다. 삶을 사랑하는 법과 지혜를 찾는 철학적 사유 방식. 그것만 쉽게 알려준다면 어느 철학자가 됐더라도 열심히 읽어 줄 기세다.

다시 드는 생각. 니체, 쇼펜하우어의 주요 독자층이 이십대라면 얼마나 더 근사할까. 사회적 효용을 위해서라도 인문학적 사유의 근육은 청춘에 만들어져야 한다. 현실은 거꾸로다. 중고교 과정에서 억지로라도 조성되던 책 읽기 토양마저 갈수록 척박해지는 중이다. 2024학년도부터 학생부의 독서활동은 대학입시 평가에 반영되지도 않는다. 그러다 보니 독서활동 기록을 위해 애써 챙겨 읽던 필독서들마저 뒤로 밀릴 수밖에 없다. 대입을 치른 20대들이 대학에서 갑자기 독서 지평을 넓히기는 더 어려운 환경이다.

얼마 전 “철학과를 나오면 고대 그리스에 취업해야 한다”는 교수의 농담을 들은 적 있다. 취업을 따지기 이전에 대학에서 인문학이 궤멸하는 속도는 속수무책이다. 한국교육개발원 자료를 보면 최근 9년간 전국 4년제 대학 인문계열 학과는 150개 넘게 사라졌다. 학과 구조조정을 하는 대학들은 ‘문사철’(문학·사학·철학)부터 없애고 교양대학 안에 교수들을 몰아넣는 방식이 기본이다. 통폐합된 학과에서는 후속 연구자를 키우지 못해 학문을 교양 이상의 깊이로 연구하는 맥이 끊어지고 있다. 박사 학위를 보유한 인문학 연구자의 42.6%가 이미 환갑을 넘었다는 통계가 있다.

인문학 연구에 대한 외부 지원이 줄면서 박사 이후의 본격적인 연구활동에도 제약이 심각해졌다.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뒷받침되지 못하면 인문학 연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상황이니 시간이 갈수록 새로운 인재 확보는 더 어려워진다. 악순환의 굴레다. 지금 교육부가 추진한다는 ‘입시 정원 20% 무전공 선발’도 걱정되는 부분은 있다. 취업 잘되는 학과만 남게 되는 추세로 가속화하면 인문학과의 궤멸은 그야말로 시간문제다. 다양한 인재 배출의 관점에서 보자면 눈 뜨고 코를 베이는 심각한 사회적 손실이 될 수 있다. ‘융합교육’의 시대적 요구에 떠밀려 다양성이 생명인 인문학이 소멸의 길목에 섰다는 얘기다.

인공지능(AI) 시대에 세상은 인문학에 눈길을 주지 않는다. 본격 AI 시대가 닥치기 전에는 인문학을 챙겨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했으나 지금은 그마저 없어졌다. 신세계그룹이 인문학 인재 양성에 해마다 20억원씩 지원하던 이야기가 벌써 10여년 전이다. 그즈음에는 기업의 지원으로 세계 고전 시리즈 작업이 출판계를 뜨르르하게 흔들며 첫발을 떼기도 했다. 돌아보면 잠깐 인문학이 꽃피던 때였다.

AI 시대 깊숙이 진입할수록 인문학의 효용은 커진다. 세계 석학들이 혼돈 속에서 내놓는 전망이다. 앞으로도 인간이 AI보다 우위에 있을 능력은 상상력이라는 것. 그래서 정부는 어떤 정책을 준비하고 있나.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 5개년 기본계획’이 사실상 전부다.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가운데 인문학 관련은 해마다 줄어 재작년(1.1%)에는 겨우 1%대 턱걸이를 했다. 이 앙상한 정책마저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한 해씩 번갈아 심의·운영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는 인문학이 진흥할 리 없다. 대학 구조조정의 주무 부처인 교육부가 책임지면 어떤가. 인문학이 첨단공학과 맨몸으로 부딪치게 내버려 둘 수는 없다.
2024-01-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