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만방래조란 모든 주변국(만방)이 조공을 바치러 중국에 온다는 뜻이다. 당(唐)나라 전성기로 꼽히는 현종(玄宗) 황제 재위 당시 동아시아는 물론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70여개국으로부터 조공을 받으며 세계 중심국으로 위세를 떨친 모습을 비유한 데에서 유래했다.
중국 관영 매체 관계자는 “과거 황제들은 주변국이 몰려오는 성대한 조공(朝貢) 의례를 통해 백성에게 황제의 위세를 과시했다”면서 “이번 APEC 정상 만찬 행사를 만방래조에 비유한 것은 주요 2개국(G2)인 중국의 지도자 시진핑 주석의 위상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중국인에게 보여 주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시 주석을 치켜세우기 위한 대내 선전을 위해 만방래조라는 표현을 인용했다는 얘기다.
주변국 입장에선 이런 표현이 달가울 리 없다. 중국 위협론이 불거지는 것은 중국이 과거처럼 ‘군림하는 황제국’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인민일보 계열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과거 동아시아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조공 체계가 있었다. 만방래조는 중국 역사상 가장 휘황찬란했던 시기를 가리킨다. 과거 조공 체계는 동아시아에 안정과 번영을 가져왔다”고 적었다.
중국인 중에는 주변국이 만방래조란 표현을 불쾌하게 생각하는 이유를 납득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조공에 대한 개념이 다르기 때문이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百度) 백과는 “조공은 중국이 받은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돌려주는 후왕박래(厚往薄來)를 원칙으로 삼았기 때문에 주변국이 더 이익이었다”고 말한다. 조공을 받고 속국의 지배권을 인정해 주는 책봉(冊封) 의식도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형식일 뿐 중국이 속국의 내정을 간섭하지 않았고 보호하는 역할만 했기 때문에 서방의 제국주의와는 다르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중국 역대 왕조가 약소국인 주변국의 팔을 비틀어 이것저것 바치라고 요구하는 ‘갑(甲)질’을 했다거나 주변국이 중국의 침략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조공을 바쳤다는 내용은 중국 포털에선 찾기 힘들었다.
중국의 주장대로 만방래조를 통해 주변국에 많은 답례품을 하사하고, 주변국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더라도 조공은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한 봉건시대의 개념이다. 1300년 전 당나라 때나 어울릴 용어다. 인민일보는 정상회의 만찬을 소개하며 “많은 사람이 만방래조를 느꼈다”고 했다. 이는 시 주석이 황제이며, 나머지 정상들은 시 주석에게 예를 갖추는 주변국의 우두머리로 보였다는 의미인 셈이다.
시 주석은 올해 주변국 외교의 원칙으로 ‘친성혜용’(親誠惠容)을 꺼내 들었다. 친근하게 성의를 가지고 서로 윈·윈하면서 함께 발전하자는 뜻이다. 기본적으로 상대국을 평등하게 대하겠다는 의미다. 그러나 만방래조는 중국이 황제국이고, 주변국은 신하국이라는 차별을 깔고 있다. 겉으로는 이웃과 ‘운명 공동체’를 이루겠다고 말하면서 속으로는 과거 중화 제국주의의 부활을 꿈꾸는 중국을 반길 이웃 국가는 없을 것이다.
jhj@seoul.co.kr
2014-11-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