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 곡산에 사는 여성 약노가 주문을 외워 사람을 죽였다는 보고서가 올라왔다. 황당하다고 여긴 세종은 사건을 재조사하라고 했다. 모진 고문에 못 이긴 약노의 거짓 자백이었다. 약노는 억울함을 알리려 해도 방도를 몰랐다고 했다. 세종은 억울한 일들이 알지 못하는 데서 비롯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새 글자를 만들었다. 당시 조선은 명나라와의 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한자에서 벗어난다는 건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다. 더욱이 사대부들에게 한자는 권력을 유지하는 도구이기도 했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어 이 권력을 모두에게 나누어 줬다. 한글은 민주주의의 토대가 됐다.
2000년 영국의 역사학자 존 맨은 저서 ‘알파 베타’에서 “한글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 알파벳”이라고 했다. 한글에 보내는 최고의 찬사다. 한글의 가치는 이 찬사에 있지 않다. 한글에는 더 쉽고 낮은 말들이어야 한다는 뜻이 있다. 공문서들은 아직 어렵고 낯설다. 전문용어는 일상과 멀어져 간다. 기업의 언어들도 그렇다.
2018-10-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