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수 식약처 소비자위해 예방국 소통협력과장
혈액제제는 크게 수혈용 제제와 혈장분획제제로 나뉘는데 그중 혈장분획제제는 마치 석유 원유를 등유, 경유, 휘발유로 정제하듯 피의 액체성분인 혈장을 원료로 그 안에 포함된 단백질 종류별로 성질이 다른 점을 이용해 분리·정제하여 제조한다. 맨 먼저 분리되는 것이 혈우병 환자 치료 등에 사용되는 혈액 응고인자이고 다음이 항체로 대표되는 글로불린제제, 마지막이 알부민이다.
한때 피를 파는 행위 즉 매혈이 허용됐지만 국제적십자사연맹이 1974년을 ‘세계 헌혈의 해’로 지정하고 세계보건기구(WHO)가 혈액을 통해 전염되는 감염병의 전 세계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 간 혈액의 수출입을 엄격히 규제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매혈을 대부분 금지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모든 감염인자는 피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 그래서 혈액 공여자는 엄격한 스크리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주 건강한 사람이 아니면 헌혈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 이렇게 수집된 혈액은 감염인자 검사를 비롯한 과학적 검증절차를 거쳐 수혈용 제제 혹은 혈장분획제제의 원료로 사용된다.
특히 혈장분획제제는 수만명에서 수십만명 이상의 혈장을 모아 정제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개개인의 혈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감염인자가 누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제거 및 불활화(바이러스의 감염력을 제거)하는 공정을 설립해 증명하는 검증을 수행해야 한다. 대표적 제거공정은 아주 작은 구멍을 통과하는 극미세 여과공정과 저온열처리(파스퇴르 공정, 60℃에서 10시간)가 있다.
우리의 헌혈률은 2017년 5.7%로, 미국(3.88%), 프랑스(2.39%), 네덜란드(4.27%)보다 높은 수준이다. 헌혈은 생명을 구하는 직접적인 헌신이고 헌혈자는 그래서,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영웅들이다. 오늘 여러분이 적십자사 헌혈센터를 찾아 위대한 영웅의 대열에 합류하는 사랑의 날이 되길 기대해 본다.
2019-08-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