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동네 친구/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동네 친구/황두진 건축가

입력 2019-08-15 17:16
수정 2019-08-16 02: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동네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동네 친구란 이런 의미다. 우선 갑자기 연락해서 불러낼 수 있어야 한다. 그냥 편한 복장으로 만나면 된다. 늦게 만나 늦게 헤어져도 좋다. 어차피 가까운 거리에 사니까 어지간히 밤이 깊어도 서로 집에 돌아갈 걱정을 덜할 것이다. 저녁도 다 먹고 좀 심심해지려고 할 때, “가볍게 한잔 어때?”하고 만날 수 있는 친구가 바로 동네 친구이다. 이런 친구가 몇 명 있다면 얼마나 즐거울 것인가.

오해는 마시라. 지금 살고 있는 동네에 친구가 없다는 말이 아니다. 낮에 길을 걷다 보면 여기저기에서 아는 얼굴들이 나타난다. 하지만 해가 지고 하루 일과가 끝날 무렵이면 그들은 모두 자기 집이 있는 다른 동네로 돌아간다. 그래서 밤이 되면 동네에는 한없는 적막감이 감돈다. 집과 직장이 같은 곳이라 밤이나 낮이나 한동네에 있는 나에게는 그 점이 갈수록 아쉽게 느껴진다.

개인적 차원의 일처럼 썼지만, 알고 보면 서울이라는 도시의 구조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다. 내가 살고 있는 곳은 서울 구도심, 소위 ‘사대문 안’이라고 하는 곳이다. 누군가는 이 지역을 서울의 참 모습을 담고 있는 곳이라고 한다. 또 누군가는 반대로 서울이 이렇게 확장되었는데 아직까지 사대문 안 타령이냐고도 한다. 나에게는 그냥 ‘사람이 별로 안 사는 곳’이다. 그 중심이 되는 광화문 일대는 연일 시위로 바람 잘 날이 없는데, 아마 시위에 참여하는 사람들 또한 대부분 다른 곳에 살고 있을 것이다.

한때 이곳이 서울의 중심이었던 것은 맞다. 적어도 1960년대까지는 그랬다. 그러나 인구가 늘어나면서 ‘강북은 만원이다’라는 구호가 등장했다.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고 강남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그 구호는 ‘아직도 강북에 사십니까’로 바뀌었다. 강북을 떠나 강남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집만 그곳으로 옮기지 않았다. 강북에 있던 학교들과 함께 갔다. 어느 정도 나이 먹은 사람들 중에는 어린 시절 강북에서 살았던 사람이 많지만, 아직까지 강북에 사는 사람은 드물다. 이미 중심은 강북을 떠난 지 오래다.

그 결과는 어떤 것일까? 서울의 인구밀도 그래프를 놓고 보면 한 눈에 알 수 있다. 가운데 유난히 색이 옅은 지역이 있다. 바로 사대문 안이다. 행정구역으로 보면 종로구와 중구인데, 한양도성 밖으로 나간 일부 지역은 제외해야 한다. 사대문 안의 인구를 대강 헤아려 보면 20만명에서 25만명 사이인 듯하다. 조선 후기에 이 지역에 살던 사람의 숫자와 비슷하거나 아마 그보다도 적을 것이다. 즉 사대문 안 인구는 1960년 대 어느 시점에 정점을 찍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조선 후기로 다시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근대화의 승리일까? 절대 그렇지 않다. 도넛처럼 가운데가 텅 빈 도시에서는 시민들의 이동거리가 길어진다. 직장은 아직도 구도심에 몰려 있으나 그 근처에 주거는 부족하다. 아파트가 없어서 그렇다는 말도 있지만, 몇 년 전 종로구에 한 대규모 단지 아파트가 들어섰는데 그 지역 인구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쯤 되면 구도심 인구를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한 정책이 나올 만도 한데, 그런 소식은 별로 없다. 오히려 구도심을 관광지화한다는 이야기만 들려온다. 어린 시절을 여기서 보낸 후 다른 곳으로 떠난 사람들에게는 반가운 소리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도시의 미래를 위해서는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방문해 본 세상의 좋은 도시치고 서울처럼 구도심 인구가 이렇게 적은 경우는 없었다. 최소 50만명의 상주인구 확보를 목표로 잡고 이를 가능케 하는 방법을 지금이라도 찾아야 한다. 주거와 기타 도시 기능이 공존하는 고밀도 복합 건축을 유도하는 방법도 있다. 구도심에는 더 많은 사람이 살아야 한다. 꼭 동네 친구가 필요해서만은 아니다.
2019-08-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