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훈 경제부 차장
당사자들이야 경기 회복을 뒷받침하는 통계는 물론 침체를 대변하는 통계 등 입맛에 맞는 근거를 얼마든지 제시할 수 있겠지만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은 불안하다. 우선 말잔치 속에 숨은 행간을 읽어야 한다.
경제 흐름에 대한 진단은 ‘전망’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정부의 전망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가깝다. 정책 의지까지 담긴 만큼 높은 곳을 바라보는 낙관적 경향이 강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경제 현실과 구조를 전망에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느냐다. 경제 현실을 객관적으로 보여 주는 지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하는 경기선행지수(CLI)를 꼽을 수 있다. CLI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올 들어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CLI)는 지난 1월 99.84, 2월 99.76으로 2개월 연속 100을 밑돌았다. 기준점(100)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이 지수가 100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4년 9월 이후 3년 4개월 만이라는 점에서 경기 하강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또 경제 구조를 살피려면 한은이 지난해 내놓은 ‘경기 변동성 축소에 대한 재평가’ 보고서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핵심은 우리나라의 경기 변동성이 주요국과 비교할 때 과도하게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경제가 성숙된 데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기보다는 경제 활력이 떨어지는 신호라는 것이다. 이를 해석하면 경기 호황과 침체를 구분하는 각종 경제지표의 편차가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결국 한국 경제 구조가 ‘애늙은이’처럼 바뀐 탓에 경기 국면을 제대로 식별하는 게 어려워지고, 이는 경기 판단과 대응에 대한 오류 가능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다시 경기 논쟁으로 돌아가자. 김 부총리의 발언에는 경제 주체들의 경제 심리가 꺾이지 않도록 하겠다는 뜻이, 김 부의장의 지적에는 낙관적 경기 판단이 잘못된 정책 대응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각각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부의 경기 진단이나 전망은 경제 주체들의 의사 결정에 중요한 기초 정보가 된다. 잘못된 판단은 경제 전반에 큰 폐해를 불러올 수 있다. 앞서 위기설이 현실화될 때마다 국내외 경제 환경이 급변하고 위기 징후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었음에도 시의적절한 정책적·제도적 대응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 우리 정책 당국이 써 온 ‘단골 반성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 등 강대국의 횡포까지 거세지고 있다.
정부가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고 대책을 세워야 경제 주체들의 낙관적 심리를 북돋울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한국은행은 지난해 7월 경기 전망을 통해 올해 취업자 수 증가 규모를 35만명으로 예상했다가 지난 4월에는 26만명으로 9만명이나 줄였다. 눈에 보이지 않는 잠재적 일자리가 사라진다니 국민들이야 둔감할 수밖에 없지만 정부 입장에서는 호들갑을 떨어도 지나치지 않다.
shjang@seoul.co.kr
2018-05-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