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따뜻한 얼음/박남준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따뜻한 얼음/박남준

입력 2019-08-01 17:30
수정 2019-08-02 0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따뜻한 얼음 / 박남준

옷을 껴입듯 한 겹 또 한 겹
추위가 더할수록 얼음의 두께가 깊어지는 것은
버들치며 송사리 품 안에 숨 쉬는 것들을
따뜻하게 키우고 싶기 때문이다
철모르는 돌팔매로부터
겁 많은 물고기들을 두 눈 동그란 것들을
놀라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그리하여 얼음이 맑고 반짝이는 것은
그 아래 작고 여린 것들이 푸른빛을 잃지 않고
봄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겨울 모진 것 그래도 견딜 만한 것은
제 몸의 온기란 온기 세상에 다 전하고
스스로 차디찬 알몸의 몸이 되어 버린 얼음이 있기 때문이다
쫓기고 내몰린 것들을 껴안고 눈물 지어 본 이들은 알 것이다
햇살 아래 녹아내린 얼음의 투명한 눈물자위를
아 몸을 다 바쳐서 피워 내는 사랑이라니
그 빛나는 것이라니

***

겨울 이야기를 하자. 겨울이 깊어지면 매일 산책하는 강물이 얼어붙는다. 강물이 얼 때 걱정이 있다. 얼음 속 물고기들이 어떻게 겨울을 견딜까. 수달과 철새들이 어디서 먹이를 구할까. 어느 추운 오후 다리 아래 깊은 물길 속에 물고기들이 새까맣게 모인 것을 보고 놀랐는데, 다음날 강물이 얼어붙은 것을 보고 물고기들의 모임을 이해했다. 얼음은 겨울의 이데올로기이자 세계관이다. 새봄의 모든 생명들은 얼음의 세례를 받고 태어난다. 새봄의 꽃들이 아름다운 빛과 향기를 지닌 것은 얼음의 고통을 이겨 냈기 때문이다. 얼음에서 풀린 물이 자유롭게 흐르며 인간과 나무들과 물고기들에게 새로운 꿈과 영감을 준다.

곽재구 시인
2019-08-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