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파스칼/우석대 명예교수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파스칼/우석대 명예교수

입력 2022-11-22 20:20
수정 2022-11-23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대전 2007. 한 아이가 자라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대전 2007. 한 아이가 자라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2023년은 블레즈 파스칼(1623~ 1662) 탄생 400주년이다. 그는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문학 등 상호 연관이 별로 없는 다양한 영역에서 최고 수준에 도달한 명실상부한 천재다. 손을 댄 모든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업적을 남겼다. 마치 여러 명의 천재가 한 사람 속에 빙의한 것만 같다.

파스칼의 아버지는 프랑스 법복귀족이었는데, 그 역시 천재 수학자였다. 파스칼의 누나와 여동생도 비범한 천재였다. 어머니는 여동생을 낳다가 죽었고 아버지가 홀로 1남 2녀의 양육과 교육을 도맡았다. 세 살 때 어머니를 잃은 파스칼은 어머니에 대한 기억도 없었다. 어린 파스칼은 수학이 너무 좋았다. 기하학을 가르쳐 달라고 졸랐다. 아버지는 그리스·로마 고전을 먼저 배우면 기하학을 가르쳐 주겠다고 했다. 그러고는 아예 서재에서 수학책을 치워 버렸다. ‘공부시켜 주세요’라고 조르는 아들에게 ‘고전 공부 잘하면 상으로 기하학 공부를 시켜 주마’라고 약속한 것.

낭중지추(囊中之錐)란 말처럼 재능을 억누를 수는 없었다. 열두 살 때였다. 어느 날 라틴어 수업이 끝난 뒤 파스칼은 방에 혼자 남아 원, 삼각형 등의 도형을 벽에 그려 놓고 면적·비율 등을 따져 보기 시작했다. 아버지가 수학책을 치워 버려 도형 이름도 몰랐다. 나름대로 둥근 것, 세모, 막대기 등으로 이름을 붙여 놓고는 정의를 만들고 공리까지 만든 다음 하나하나 증명해 나갔다. 이런 식으로 한참을 혼자 연구하더니 급기야 에우클레이데스의 기하학 첫째 권 32번 정리에 도달했다. ‘삼각형 세 내각의 합은 두 직각과 같다.’

이 정리를 완성하는 순간 아버지가 방에 들어왔다. 아들은 놀랐다. 아버지가 금지한 짓을 하다가 들켰던 것. 벽에 쓰인 글과 그림을 찬찬히 살펴보던 아버지의 눈과 입이 동시에 커지는가 싶더니 왈칵 눈물이 쏟아졌다. 아버지는 그 길로 달려가 동료들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놀라지 않는 이가 없었다. 수학 교육을 더 늦춰서는 안 된다는 것이 모두의 뜻이었다. 아버지도 아들이 열다섯 살이 되면 수학을 가르치려 했던 계획을 바꿔 즉각 체계적인 수학 교육을 시작했다.

얼마 전 한국계 수학자인 허준이 교수가 ‘수학 노벨상’ 필즈상의 영예를 안았다. DNA도 중요하지만 역시 가정과 학교가 받쳐 줘야 가능한 일이다.

2022-11-2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