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7월까지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가 5200여명으로 나타났다. 어떤 항생제에도 죽지 않는 공포의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된 이들이 이렇게 많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민주당 양승조 의원이 그제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44개 대형 종합병원을 조사한 결과 슈퍼박테리아의 병원 내 감염 신고건수는 병원 한 곳당 평균 100건이 넘는다. 지난 5월 유럽을 휩쓸고 간 슈퍼박테리아 감염으로 수많은 이들이 사망한 것을 떠올린다면 이제 슈퍼박테리아 문제는 이웃나라 일이 아닌 우리의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고 하겠다.
이번 통계가 상위 종합병원만을 대상으로 한 수치여서 연말까지 전체 병원으로 조사를 확대하면 감염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이상 뒷짐 지고 있을 수 없다는 얘기다. 슈퍼박테리아는 기존 항생제가 전혀 듣지 않아 폐렴·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질환을 일으켜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에게는 더욱 치명적이라고 한다. 지난 5월 탤런트 고 박주아씨도 수술 받은 후 병원에서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돼 패혈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유족들은 병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일부 조사에 의하면 대학병원 전공의 가운과 넥타이, 휴대전화 등에서도 슈퍼박테리아가 검출됐다고 한다. 병 고치러 병원 갔다가 거꾸로 병원에서 무서운 세균에 감염되는 날벼락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항생제에도 속수무책인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은 인간의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의 업보다. 감기만 걸려도 항생제를 마구잡이로 처방하는 우리 현실에 비춰보면 그리 놀랄 일이 아닐 수 있다. 그러기에 슈퍼박테리아 감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항생제가 올바르게 사용돼야 한다. 오남용을 줄이지 않으면 안 된다. 병원뿐만 아니라 축산업계도 고민해야 한다. 농축산물에 사용하는 각종 항생제 역시 사람 몸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병원의 체계적인 감염 관리가 우선 시급하다고 하겠다. 병원은 물론 복지부 등이 나서 상시 감시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환자들의 권리차원에서 병원별로 감염 상황을 공개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번 통계가 상위 종합병원만을 대상으로 한 수치여서 연말까지 전체 병원으로 조사를 확대하면 감염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이상 뒷짐 지고 있을 수 없다는 얘기다. 슈퍼박테리아는 기존 항생제가 전혀 듣지 않아 폐렴·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질환을 일으켜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에게는 더욱 치명적이라고 한다. 지난 5월 탤런트 고 박주아씨도 수술 받은 후 병원에서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돼 패혈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유족들은 병원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일부 조사에 의하면 대학병원 전공의 가운과 넥타이, 휴대전화 등에서도 슈퍼박테리아가 검출됐다고 한다. 병 고치러 병원 갔다가 거꾸로 병원에서 무서운 세균에 감염되는 날벼락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항생제에도 속수무책인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은 인간의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의 업보다. 감기만 걸려도 항생제를 마구잡이로 처방하는 우리 현실에 비춰보면 그리 놀랄 일이 아닐 수 있다. 그러기에 슈퍼박테리아 감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항생제가 올바르게 사용돼야 한다. 오남용을 줄이지 않으면 안 된다. 병원뿐만 아니라 축산업계도 고민해야 한다. 농축산물에 사용하는 각종 항생제 역시 사람 몸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병원의 체계적인 감염 관리가 우선 시급하다고 하겠다. 병원은 물론 복지부 등이 나서 상시 감시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환자들의 권리차원에서 병원별로 감염 상황을 공개하는 것도 필요하다.
2011-09-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