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는 어제 대기업 56곳에 대한 동반성장지수 평가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평가와 동반성장위의 체감도 설문조사를 합산해 최우수 등급인 ‘우수’ 6곳, 상위 두번째인 ‘양호’ 20곳, 세번째인 ‘보통’ 23곳, 그리고 최하위 등급인 ‘개선’ 7곳의 명단을 발표했다. 동반성장위는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56개 대기업의 1, 2차 협력사 5200여곳을 직접 방문해 임원급 이상을 대상으로 공정거래(57점), 협력(22점), 동반성장체제(19점), 연계지원체계(2점) 등을 조사했다고 한다. 동반성장위는 최하위 ‘개선’ 등급 7개 업체에 대한 부정적인 시장 평가를 의식해 평가에 참여하지 않은 기업보다는 동반성장에 대한 최고경영자(CEO)의 의지와 열의가 더 높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그동안 평가 대상기업들의 ‘줄 세우기’ ‘망신 주기’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화두인 대·중소기업의 협력과 상생 분위기를 유도하려면 동반성장 노력의 등급을 매기고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의 납품단가 후려치기,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협력업체 기술 찬탈 등과 같은 불공정 게임이 만연되면서 기업 규모별 양극화가 심화됐기 때문이다. 기업 생태계가 승자 독식의 약육강식 논리에 압도되면서 급기야 우리 사회를 ‘1%대 99%’의 대결구도로 분열시켰던 것이다. 이런 이유로 재계의 반발과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초대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고집했던 ‘초과이익공유제’에 공감을 표시했다. 양극화 심화를 사회 통합과 국가 지속성에 경종을 울리는 위험 신호로 봤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재계가 이번 평가 방식과 결과에 불만이 있더라도 동반성장지수 자체를 폄훼하기보다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할 디딤돌로 받아들일 것을 권고한다.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몸살을 앓는 양극화 심화는 반드시 극복하지 않으면 안 될 대상이다. 그러자면 무엇보다도 최고경영자의 의식 전환이 중요하다. ‘독식’은 당장 달콤할지 몰라도 반드시 부메랑이 되어 역풍을 몰고 오기 마련이다. 정부와 동반성장위도 지수 평가결과 공개가 제대로 뿌리 내릴 수 있도록 기업들의 불만을 수렴해 기준을 보다 정교하게 가다듬기 바란다. 지금은 부정보다는 긍정적인 자세가 필요한 때다.
우리는 그동안 평가 대상기업들의 ‘줄 세우기’ ‘망신 주기’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화두인 대·중소기업의 협력과 상생 분위기를 유도하려면 동반성장 노력의 등급을 매기고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환위기 이후 대기업의 납품단가 후려치기,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협력업체 기술 찬탈 등과 같은 불공정 게임이 만연되면서 기업 규모별 양극화가 심화됐기 때문이다. 기업 생태계가 승자 독식의 약육강식 논리에 압도되면서 급기야 우리 사회를 ‘1%대 99%’의 대결구도로 분열시켰던 것이다. 이런 이유로 재계의 반발과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초대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고집했던 ‘초과이익공유제’에 공감을 표시했다. 양극화 심화를 사회 통합과 국가 지속성에 경종을 울리는 위험 신호로 봤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재계가 이번 평가 방식과 결과에 불만이 있더라도 동반성장지수 자체를 폄훼하기보다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할 디딤돌로 받아들일 것을 권고한다.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몸살을 앓는 양극화 심화는 반드시 극복하지 않으면 안 될 대상이다. 그러자면 무엇보다도 최고경영자의 의식 전환이 중요하다. ‘독식’은 당장 달콤할지 몰라도 반드시 부메랑이 되어 역풍을 몰고 오기 마련이다. 정부와 동반성장위도 지수 평가결과 공개가 제대로 뿌리 내릴 수 있도록 기업들의 불만을 수렴해 기준을 보다 정교하게 가다듬기 바란다. 지금은 부정보다는 긍정적인 자세가 필요한 때다.
2012-05-1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