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선현 작가
법인 실상사 한주
생각해 보자. 마음씀이 아름다운 사람이 명품 인간이다. 그런 사람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이 명품이 된다. 마치 부처님이 걸친 누더기 옷이 사람들에게 빛나 보이듯이 말이다. 고가의 가방을 가진 사람과 고결한 사람이 가진 평범한 가방의 차이는 어떻게 다를까.
불교의 나라 신라에서 고승을 초청해 음식을 공양하는 행사를 했다. 초대받은 고승 한 분이 허름한 옷을 입고 초대에 응했다. 초라한 행색에 왕궁의 경비병이 그의 출입을 막았다. 그 고승은 다음 공양 초청 때는 단정한 옷을 입고 초대에 참여했다. 그런데 그분은 음식을 옷소매에 담았다. 괴이하게 여긴 왕이 왜 그러느냐고 물었다. “나를 초청한 것이 아니라 옷을 초청한 것이라 생각돼 옷에게 음식을 공양드리고 있습니다.” 소유와 소비로 사람을 평가하고 자기 존재를 증명하고 과시하려는 오늘날의 풍토에서 음미해 봐야 하는 일화가 아닐 수 없다.
저잣거리에 나가 보면 눈이 어지럽고 귀가 어지럽다. 산중 수행자가 보기에도 어찌 그리 물건을 잘 만드는지 감탄이 절로 나온다. 한번은 전자상가에 들렀는데 각종 제품의 디자인과 기능에 놀랐다. 값이 일반 제품보다 몇 배가 비싼 고화질의 TV를 보니 옆의 제품에 영 눈이 가지 않았다. 지금까지 TV 없이 살던 내가 그만 사고 싶은 순간의 충동을 느낄 정도였다. 그때 실감했다. 우리 시대는 필요해서 물건을 사기보다 좋아서 사는구나. 이제 상품은 교환가치를 넘어 기호가치가 됐다는 진단이 이런 것이로구나. 자본주의는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의 기호 심리에 파고들어 노후화 기술과 진부화 기술이라는 마법을 부리는구나. 이래저래 상품은 사람들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것이 아니라 힘들게 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앞에 충동구매에 삶이 묶인 사람을 떠올린다. 그리고 왜 기호가치에 매몰돼 있는가를 생각한다. 그분은 사는 게 재미없고 답답해서 물건을 사들인다고 말했다. 원인은 여기에 있을 것이다. 진정으로 실감하는 재미와 의미를 찾지 못한 삶의 지점에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답은 분명하다. 재미의 ‘판’을 바꿔야 하지 않겠는가. 그 판은 각자가 찾아야 한다. 누군가 이런 말을 건넸다. 소유와 소비에 투자해 보니 재미는 순간이더라. 그런데 시간과 경험에 몰입해 보니 재미의 여운이 길게 가더라고. 독서, 걷기, 여행, 다정한 사람들과 음식 만들어 먹기, 봉사하기, 문화적 취미 생활. 이 모든 것의 공통점은 시간과 경험이다. 또 하나의 공통점은? 이런 것들은 그리 많은 돈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2019-12-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