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식당 자영업의 위기를 극복한 숨은 협업/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기고] 식당 자영업의 위기를 극복한 숨은 협업/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입력 2021-11-29 17:16
수정 2021-11-30 0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냉면과 돼지갈비 등의 메뉴를 주로 판매하는 식당 봉피양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400명이나 되는 직원 중에서 인원 감축을 단 한 명도 하지 않았다.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식당들이 직원들을 내보내거나 폐업했는데 봉피양은 어떻게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을까.

봉피양 최고경영자(CEO)는 온라인 유통업체 마켓컬리와 함께 기획, 출시한 RMR(Restaurant Meal Replacementㆍ레스토랑 간편식) 덕택이라고 말하고 있다. RMR로 구현된 봉피양의 냉면, 돼지갈비 등이 마켓컬리에서 내는 매출은 실제 운영 중인 봉피양 매장 한 곳의 매출과 비슷한 정도까지 성장했다. 고객들이 매장으로 올 수 없으면 집에서 매장의 음식을 즐길 수 있게 한다는 발상의 전환과 유통업체와의 협업으로 위기를 극복했다.

음식을 집에서 조리 과정 없이 간편하게 즐기는 기존의 가정 간편식(HMRㆍHome Meal Replacement)에서 한발 더 나아간 RMR은 식당의 메뉴를 집에서 편리하게 먹을 수 있도록 구현한 제품이다. 유명 맛집, 호텔, 그리고 지역의 허름한 노포(老鋪)까지도 RMR 제품을 내놓으며 코로나의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식당의 메뉴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집 냉장고에서 꺼내 덥혀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RMR의 매력이다.

RMR은 배달음식과 달리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 배송되기 때문에 전국 어디서든 멀리 떨어진 식당의 메뉴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다. 그러나 RMR은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 시설, 전국 유통에 맞는 패키지 등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아 식당 단독으로 뛰어드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런 생소한 과정을 함께 고민했던 숨은 조력자가 새벽배송으로 대표되는 온라인 유통사들이다. 온라인 유통사들은 고객들의 수요, 식품 제조사들의 특성 등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식당과 제조사를 적절히 연결하며 RMR을 함께 기획하고 유통하며 위기에 처한 식당들에게 큰 힘을 실었다.

예컨대 마켓컬리가 식당과 협업한 RMR은 700여개에 달하며 봉피양뿐만 아니라 50년 된 작은 노포 ‘유림면’의 메밀면, 광장시장 터줏대감 ‘박가네’의 빈대떡, 부산에 위치한 ‘사미헌’의 갈비탕을 전국 어디서든 맛볼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이 식당들은 코로나의 위기를 극복하고 있으며, RMR에 만족한 고객들이 직접 그 맛을 보기 위해 매장을 방문하는 선순환 구조도 생기고 있다. 식당과 유통사의 협업이 코로나로 침체된 자영업과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2021-11-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