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꽃이여, 속내를 보여 다오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꽃이여, 속내를 보여 다오

입력 2019-03-11 17:28
수정 2019-03-12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마린, ‘병촉야유도’, 남송, 비단에 채색, 타이베이 고궁박물원.
마린, ‘병촉야유도’, 남송, 비단에 채색, 타이베이 고궁박물원.
일제의 잔재라고 해서 지금은 사라졌지만, 예전에는 ‘밤 벚꽃놀이’라는 게 있었다. 놀이라고 해 봐야 별것이 아니고 밤에 벚꽃 구경을 하는 것이다. 지금처럼 전깃불이 휘황하지 않던 시절에는 깜깜한 밤에 하얗게 빛나는 벚꽃을 구경하는 것이 나름 운치 있고, 낭만적으로까지 여겨졌다. 일본인들이 심은 벚나무라고 벚꽃 보길 꺼리는 이도 있지만 꽃이야 무슨 죄가 있으랴.
이미지 확대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사실 일본에서도 꽃놀이의 풍속이 그리 오랜 역사를 갖는 것은 아니다. 소상공인이 등장하기 시작하는 17세기쯤에 기원을 둔 꽃놀이를 그린 당대 병풍 그림이 남아 있기는 하다. 하지만 꽃을 보고 설레며 즐거워하는 일은 일본에서만 있었던 일이 아니니 애꿎은 벚꽃에 눈을 흘길 일은 아니다. 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꽃을 즐겨 그려 집안을 장식했다. 멀리 갈 것 없이 사찰이나 궁궐의 단청, 기와에 표현된 꽃을 생각하면 된다. 물론 꽃과 관련된 그림을 독립 회화로 그려 완상하는 일도 부지기수였다.

중국 남송(南宋)의 궁정에서 활동했던 마린(馬麟)의 ‘병촉야유도’(秉燭夜遊圖)는 13세기에 그려진 그림이다. 등불을 켜고 봄밤을 즐긴다는 제목 그대로 화면 가운데 뾰족한 지붕이 있는 건물 속에 주인이 앉아 밖을 내다본다. 앞마당에는 두 줄로 늘어선 높은 등잔이 보이고, 그 옆으로 잔잔하게 흰 꽃을 이고 있는 나무가 그려졌다. 빈 곳처럼 보이는 화면 상단 타원형의 도장 옆으로 작은 달이 보일 듯 말 듯 희미하게 떠 있다. 중국 그림에 찍힌 도장들은 수장가의 도장인지라 도장이 많이 찍힌 그림들은 매우 유명한 그림이라고 보면 된다. 어둠이 스며들기 시작한 어스름한 달밤에 꽃이 질까 노심초사하며 등촉에 불을 밝히고, 점점이 눈처럼 앉은 꽃들을 보는 사람의 정취가 아스라하다.

이 그림은 북송의 시인 동파(東坡) 소식(蘇軾ㆍ1036~1101)의 ‘해당’(海棠)이라는 시에서 화제를 가져왔다고 알려졌다. “밤 깊으면 꽃이 잠들어 떨어질까 두려워, 촛불 높이 들고 붉은 그녀 비춰 보네”(只恐夜深花睡去 故燒高燭照紅?)라는 구절이다. 결국 아름다운 꽃에 마음을 두다 보니 꽃이 질까 염려돼 불을 밝힌다는 뜻이다. 그래서 화가는 꽃의 현란한 자태보다 봄밤의 정취를 드러내려 꽃인지 아닌지 아득하게 느껴지도록 붓을 놀렸다. 흐르는 시간이 어지간히 야속했던 모양이다. 그 아련한 마음은 앞쪽의 진한 먹으로 그린 나뭇가지보다 뒤로 멀어지며 흐릿하게 보이는 꽃과 나뭇잎, 윤곽만 남은 산등성이에서 더욱 애틋하게 느껴진다.

마린은 아버지 마원(馬遠)과 함께 남송 황실의 총애를 받았던 화원 화가다. 그런데 남송은 여진족의 침입으로 화북 지방을 빼앗기고 항저우로 쫓겨가 재건한 나라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지녔지만, 남송 그림은 후대 지식인들의 비판을 많이 받았다. 그림에서 지적인 세계를 추구하던 문인들의 눈에 마원과 마린의 그림은 지나치게 감상적으로 비쳤기 때문이다. 이는 남송이 처했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겨졌다.

하노이에서의 북미 회담이 기대에 어긋난다고 실망하는 사람이 많다. 두 정상의 속내가 무엇인지 해석도 분분하다. 꽃이 피기 전 봉오리를 보면 무슨 색인지 알 수 없다. 때가 되면 피울 꽃을 피기 전에 아쉬워하며 등불을 밝힐 필요는 없다. 불을 켜지 않아도 환하게 화향과 아취를 만끽할 수 있도록 만산에 평화의 꽃이 흐드러지길 기대해 본다.
2019-03-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