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어두운 터널을 박차고 나아가야지 거기까지 우리는 꿈을 꿔야지 함께 가야지”(‘이 어두운 터널을 박차고’)
‘산’(山)을 사전적으로 풀이하자면 우뚝 솟은 땅덩어리 정도가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말 풀이는 우리가 경험하는 산의 다양한 모습을 다 담아내지 못한다. 종종 우리를 가로막는 걸림돌을 산에 비유하기도 한다. 열자(列子) 탕문편에 나오는 이야기로 ‘우공’이라는 노인이 마을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산의 흙을 퍼서 나른다. 사람들이 비웃자, 대대손손 이어 나간다면 못 할 것이 뭐냐고 답한다. 이에 천신이 감복해 산을 옮겨 주었다는 얘기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이라 하여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일도 신념을 갖고 꾸준히 임하면 이루어질 것이라고 사람들은 믿을 수 있게 됐다. 그런 신념을 가진 대통령을 존경해 ‘노공이산’이라 칭했으나 정작 우리는 그를 뒷산 벼랑에서 잃었다. 한국 사회는 벼랑이 너무 많고, 벼랑으로 몰리는 사람들이 살아남기 힘든 구조를 지녔다.
내가 더 좋아하는 이야기는 주광잠의 시론(詩論)에 나온다. 한 사람이 자신의 영험한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산이여 내게 오라”고 큰 목소리로 명한다. 산이 꼼짝도 하지 않자, 그는 태연히 “산이 오지 않으면 내가 그리로 가겠다”고 말한다. 이 우스갯소리는 해학과 골계미를 전하기 위한 내용 중에 나온다. 고난과 불행에 맞서는 삶의 태도에 대해 생각할 때마다 산으로 뚜벅뚜벅 걸어가는 한 사람의 뒷모습이 떠오른다. 실패에도 굴하지 않고 돌연 익살을 피우는 이 도약은 미적 범주라기보다는 생존의 문제처럼 느껴진다. 슬픔과 비애에 빠지는 것처럼 웃으며 넉살을 부리는 것도 생명의 현상이다.
요즘 대세는 ‘루틴’이다. 일상생활 속에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 소소한 즐거움과 안정감을 추구하는 것이 삶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경기가 좋지 않아 생활이 불안정하며, 미래에 대해 낙관하기 어렵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 놓여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의 정치 상황도 마찬가지다. 조기 대선을 치르는 과정에서 여러 걱정이 동시에 밀려드는 것을 어쩔 수가 없다. 한국의 대선은 리더의 자질보다 소속 정당이 선택에 너무 많이 관여하고, 뿌리 깊은 지역적 편파성을 지우기 어렵다. 남북도 통일하기 어렵지만 동서도 소통하기 어려운 선거 결과를 보여 주었다. 새 인선을 꾸리고 있는 시점에서 당파성과 불협화음으로 현실적으로 서둘러야 할 무수히 많은 현안이 가로막힐까 우려된다.
특히 저출산 고령화 현상은 경제적 현안과 연결된 한국 사회의 시급한 문제다. 사회의 주축이 돼야 할 청년들이 위축된 것 역시 사회 발전의 큰 걸림돌이다. 도로 위를 달리다 보면 평지보다 산이 많은 것이 한국이다. 크고 작은 산들은 무척 아름답고, 그 많은 산에 터널을 뚫고 길을 만들어 낸 산업화 과정도 놀랍지만 우리 사회는 아직도 동서남북으로 막혀 있다. 사회의 활로를 찾고,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세대가 뜻을 모아야 할 때다.
이근화 시인
이미지 확대
이근화 시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근화 시인
2025-06-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