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문제의 발단은 국공립어린이집 신축이었다. 우리 구는 동별 구립어린이집을 2곳 이상 갖추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땅값이 워낙 비싸다 보니 쉬운 일은 아니다. 특히 한남동은 무려 8곳의 후보지를 물색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지역 대부분이 개발 구역으로 묶여 있는 점도 문제였다. 파격이 필요했다. 마침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1000곳 확충 계획과 맞물려 공원 내에도 어린이집 설치가 가능해졌다. 구는 응봉근린공원 일부를 활용해 어린이집을 조성하기로 했다. 고맙게도, LG복지재단 어린이집 건립 사업에 우리 구가 선정돼 사업이 속도를 내게 됐다.
응봉근린공원은 시유지였다. 구는 시·구 간 토지 교환을 통해 지난해 7월 북한남동 어린이집 건립 부지를 최종 확보했다. 이후 시 도시공원위원회 심의를 거쳐 공원 훼손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3층 규모의 자연친화적 건축물을 조성하기로 했다.
한 주민은 “공원은 녹지보호가 우선이다. 어떤 이유가 있더라도 공원 내 건물을 짓는 건 안 된다”고 했다. 맞는 말씀이다. 하지만 전부 공감할 순 없다. 어린이집 확충과 공공보육 정책은 ‘인구절벽’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비극을 막기 위한 것이다.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지 않는 도시는 희망이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을 지켜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 북한남동에는 영유아 60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 중 절반이 차량을 통해 인근 어린이집으로 통원하고 있다. 아이들의 부모는 집 주변에 국공립어린이집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 워낙 섬 같은 동네라 어린이집을 찾아 이사를 하기도 한다. 이들의 아우성에 귀 기울이는 것 또한 용산구의 역할이다.
구는 응봉근린공원을 절대 폐쇄하지 않는다. 단지 공원 전체 면적 67만 4000㎡의 극히 일부를 미래 세대를 위해 할애할 뿐이다. 구는 앞으로도 응봉근린공원을 철저히 관리해 나갈 것이다.
우리 구의 목표는 2018년까지 국공립어린이집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기존 민간 어린이집을 매입해 구립으로 전환하거나 구 소유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려 한다. 아이는 부모와 나라가 ‘함께’ 키워야 한다. 그래야 부부가 살고 나라도 산다.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한 최선의 정책은 어린이집 확충밖에 없다.
2017-06-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