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정희 시인·한국시인협회장
세계에서 초대된 시인들은 자신의 모어(母語)로 시를 낭송했다.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의 야심작이라고 하는 케브랑리 박물관은 세계적인 건축가 장 누벨이 설계한 박물관으로 시 낭송을 하기에 매우 어울리는 공간이었다. 5층 꼭대기에서부터 나선형 복도를 따라 지구 위의 모든 언어들이 빛으로 폭포를 이루며 한 곳으로 흘러내렸다. 발원지를 떠나 굽이굽이 내려온 인류의 언어들은 1층 넓은 공간에서 만났다. 바로 그 공간에서 시인들은 청중 사이에 별처럼 박혀 있다가 호명에 따라 자리에서 일어서서 시를 낭송했다. 한국어를 비롯해 이탈리아, 영국, 티베트, 스웨덴, 루마니아, 스페인, 터키의 언어들이 한데 어울렸다. “예술 간에 위계 서열이란 없다”는 것이 케브랑리 박물관의 건축 정신이라고 한다. 마치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시인들은 서로 다른 고유하고도 개성적인 목소리를 내뿜었다. 나는 ‘유방’이라는 시를 한국어로 읊었다.
‘윗옷 모두 벗기운 채/ 맨살로 차가운 기계를 끌어안는다/ 찌그러드는 유두 속으로/ 공포가 독한 에테르 냄새로 파고든다/ 패잔병처럼 두 팔을 들고/ 맑은 달 속의 흑점을 찾아/ 유방암 사진을 찍는다’(유방)
뜻밖에도 반응이 괜찮았다. 입구에 전시해 놓은 시집이 팔려서 사인을 하느라 잠시 진땀을 흘리기도 했다.
최근 이슬람을 풍자한 만화로 테러를 당한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에 관한 뉴스를 보며 그날 케브랑리 박물관에서 평화롭게 시 낭송을 하던 봄 축제를 나는 다시 한번 깊게 떠올렸다. 동시에 한국어를 포함한 세계의 언어가 발원지를 출발해 물결쳐 흘러내려와 큰 강물이 되던 자리에서 함께 시를 읽던 세계 시인들의 목소리를 아프게 떠올렸다.
자유와 이성을 믿는 유럽의 한가운데 그중에서도 파리의 중심가에서 일어난 언론을 향한 테러는 정말 충격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나는 샤를리다’라며 당당하게 거리를 행진하는 뉴스를 지켜보며 표현의 자유와 언어의 힘을 다시 생각했고 ‘나는 샤를리가 아니다’라는 피켓을 든 사람들의 모습도 인상 깊게 바라보았다. 최근 ‘뉴스의 시대’라는 신간을 내놓은 프랑스의 작가 알랭 드 보통은 이 문제에 대해 매우 의미 있는 답변을 했다. 뉴스가 지배하는 세상과 뉴스의 편향대로 움직이는 인간의 사유에 대해 말하며 그는 샤를리냐, 아니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은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 총을 쏘지 않는 사회의 편이라는 말을 했다.
뉴스와 정보의 언어가 지배하는 사회는 자칫 위험할 뿐만 아니라 타락한 언어로 가득한 하수구의 사회가 되기 쉽다. 뉴스의 편향에 따라 편이 갈리고, 자기와 다른 의견을 가졌다고 해서 폭력을 가하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요컨대 그 사회를 장악하는 언어가 주로 뉴스와 정보일 때 그 사회는 매우 엉성하고 천박하다는 것이다. 그 누구도 자신이 소유한 언어 이상을 살지 못한다. 원시사회란 단조로운 몇 낱의 언어로 삶을 영위하는 사회를 말한다. 강요된 힘에 의해 일치된 한목소리만이 지배하는 사회는 그래서 숨 막히는 패쇄 사회다. 진정한 언어를 되찾고, 언어의 힘을 이해하고 예술로서 언어의 향기를 즐길 줄 아는 새로운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가 거기 있다.
얼마 전 한국시인협회의 시인들은 그런 의미에서 초록의 깃털을 옷깃에 달고 신년회를 겸한 봄맞이를 했다. 이 땅의 언어가 쉽게 태어나고 소멸해 버리는 뉴스와 정보의 언어가 아니라 진정한 생명의 언어, 예술의 언어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에서였다. 그날 시인들의 옷깃에다 초록 깃털을 달아 주며 나는 생각했다. 오늘 한국의 뉴스는 국회도, 청와대도, 유럽이나 평양에서 온 뉴스도 아닌 오직 시인들의 초록 깃털이 큰 뉴스였으면 싶었다. 이 초록에서 생명의 잎이 싱싱하게 돋아나고 향기로운 언어가 피어날 때 진정한 봄도 피어날 것이기 때문이었다.
2015-02-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