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준상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물론 현재에 가치를 두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이것이 미래에 대한 외면으로 이어질 경우 문제가 된다. 현재 가치에 대한 지나친 쏠림 이면에는 불확실성과 시간 압박이 자리한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면 자연스레 현재 가치로 무게중심이 이동된다. 또한 시간에 대해 여유보다는 압박을 느끼게 될수록 미래를 위한 참을성보다는 현재의 기회 상실에 대한 두려움에 더 초점을 두게 된다.
최근의 급진적 기술 발달로 인한 초연결은 많은 순기능도 있지만 앞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가늠하기 힘들게 한다.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해 매일 쏟아지는 신기술이 역설적으로 사람들의 미래 불안을 키우고 있다. 불확실성이 높다 보니 미래에 대한 장기적 안목의 투자를 꺼리게 된다. 개인들도 자신의 미래가 불확실하다 보니 결혼을 미루고 아이를 낳으려고 하지 않는다. 기업도 당장의 이익이 보장된 보수적인 선택을 거듭하게 된다. 과도한 경쟁에 따른 기회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사람들에게 기다리는 여유보다 ‘지금 당장’이라는 압박을 가중시킨다. 가히 요즘 사회는 초단타적 사회라 할 수 있다. 현재 중심의 초단기성이 소비, 기업 활동 등 사회 전반에 드리우고 있다.
지나친 현재 편향은 부정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소비에서는 충동에 따른 후회가 부정적 정서를 가져오고, 심할 경우 충동 중독과 이에 따른 2차, 3차 피해를 일으킨다. 생산에서의 하루살이형 현재 편향은 체계를 약화시키고 장기적 환경 변화에 취약해져 계속기업이 아니라 한계기업으로 전락하게 한다. 국가, 사회 시스템도 마찬가지다. 불확실성에 허둥대고 시간 압박에 쫓기면 설익은 정책을 내놓고 이를 수습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만 급급한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된다.
우리에게 더이상 미래가 없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든 가능한 미래가 있다. 다만 미래를 그저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된다. 내가 미래를 만들어 간다는 생각으로 좀더 미래 준비적 관점의 사고와 행동을 해야 한다. 과도한 현재 지향 트렌드에 한 번쯤 제동이 가해져야 한다. 좀더 먼 미래를 바라보고 자신의 인생 설계를 세우고, 사회에 대한 걱정과 함께 범국가적 차원의 고민도 함께 하면서 더불어 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현재 중심적 사회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개인에 초점을 둔다. 하지만 미래 중심으로 가면 자신과 함께 사회를 보게 되고 그 사회와 함께 자신이 성장해 가는 모습을 그리게 된다. 국가적으로는 그저 몇 년이 아니라 백년, 천년의 대계가 세워져야 한다. 큰 그림 없는 지엽적 묘사는 단기적 기교에 그치고 만다. 미래에도 살아남을 국가라면 천년을 관통하는 기본과 원칙이 바로 세워져 있어야 한다.
요즘 우리 주변에는 단기적 성과 내기에 내몰려 지나치게 변화만 강조하는 겉만 번지르르한 모습들이 많이 보인다. 변화도 좋지만 그 변화가 일관성이라는 밑그림 위에 펼쳐져야 아름답고 가치가 온전히 전해진다. 이제 우리도 일관성이라는 밑그림을 그려야 할 때다. 정부, 기업, 가계, 개인 할 것 없이 모두 자신의 미래지향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것에 대한 일관성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누구나 모두 행복해지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 행복은 현재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미래에 더 큰 행복이 온다는 신념을 가지고 그 더 큰 행복을 위해 미래 지향성을 키워야 한다. 현재의 행복뿐 아니라 미래의 행복에도 가치를 두는 국가적 관점의 대전환이 필요한 때다.
2018-05-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