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외국인들이 가장 놀라워하는 것 중 하나는 전국 어디서나 잘 터지는 초고속 인터넷이다. 이처럼 한국은 인터넷 강국이지만 통신기술과 통신장비 면에서는 세계 몇 위인지 순위에 잡히지 않는다. 글로벌 네트워크 회사 10여개가 전 세계 통신 인프라를 거의 석권했다. 대한민국 기간망은 대부분 외산 장비로 구축돼 있고, 언제든 외부의 어떤 세력에게 공격당할 위험이 존재한다.
모든 비즈니스가 글로벌화된 마당에 자국산 장비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은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일 수 있다. 해외 경쟁력이 없는 네트워크 장비를 개발하는 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다 보면 세계 최고의 통신 인프라를 가진 한국은 미국과 중국의 통신보안 전쟁을 지켜보면서도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하지만 대안이 있다. 일본에서 가능성을 봤다. 일본에도 NEC, 후지쓰와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 회사가 있다. 더 중요한 것은 통신회사의 자체 기술과 규격을 이용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제작하는 통신장비를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제품 자체를 만들지는 않지만, 제품 설계도와 규격을 모두 정의해 전문업체를 통해 제작만 한다. 비록 현재는 돈이 안 된다 해도 네트워크 연구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다.
우리도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대기업 통신연구소가 국내 네트워크 제조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국산 통신장비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이정효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 책임연구원
모든 비즈니스가 글로벌화된 마당에 자국산 장비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은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일 수 있다. 해외 경쟁력이 없는 네트워크 장비를 개발하는 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다 보면 세계 최고의 통신 인프라를 가진 한국은 미국과 중국의 통신보안 전쟁을 지켜보면서도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하지만 대안이 있다. 일본에서 가능성을 봤다. 일본에도 NEC, 후지쓰와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 회사가 있다. 더 중요한 것은 통신회사의 자체 기술과 규격을 이용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제작하는 통신장비를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제품 자체를 만들지는 않지만, 제품 설계도와 규격을 모두 정의해 전문업체를 통해 제작만 한다. 비록 현재는 돈이 안 된다 해도 네트워크 연구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다.
우리도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대기업 통신연구소가 국내 네트워크 제조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국산 통신장비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이정효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 책임연구원
2015-11-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