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가 전보다 덜하지만, 매년 신춘문예 시기마다 응모하는 문학 지망생들이나 사법고시 시절 고시촌에서 10년 넘게 살며 트레닝복과 물아일체가 됐다는 전설의 장수 고시생들도 떠오른다. 공통점은 포기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불굴의 의지로 끝까지 노력해 결국 성공했다는 사전오기의 신화가 우리 모두의 마음에 각인돼 있다.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한 한국의 문화에서 차마 “이제 그만하자”고 말하지 못한다. 더욱이 그랬다가는 그동안 들인 시간과 에너지를 고스란히 손해로 인정해야 한다. 경쟁이 심한 사회에서 치명적이라 느낄 만하니 더욱 포기하지 못한다.
여기에는 자존감과도 연관이 있다. 짐작건대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 포기하지 않을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캐나다의 심리학자 애덤 디 폴라는 자존감이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눠 어려운 추론 문제를 풀게 했다. 참가자들이 꽤 어렵다고 느낄 만한 문제였고, 한 세트가 끝날 때마다 실제와 상관없이 성적이 하위 3분의1이라고 알려 줬다. 이후 다음 세트를 더 해볼지, 아니면 추론 문제를 그만두고 창의성 문제라는 다른 주제로 바꿔 볼지 선택하라고 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한 번 실패했을 때에는 다시 해보겠다고 했지만, 반복해서 낮은 점수를 받자 다른 주제로 넘어가겠다고 결정하는 비율이 자존감 낮은 사람보다 높았다.
반면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여러 번 실패해도 여전히 추론 문제를 재시도하는 걸 선택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주어진 과제에 대한 동일시 경향이 낮았다. 행동의 목표가 타인의 평가보다 자신이 선택하고 잘하는 것을 찾는 것이었다. 그래서 한 번 실패를 하면 다시 시도를 하지만, 여러 번 반복해서 실패하는 경우 ‘아 이건 나와 맞지 않는구나’라고 판단하고 어렵지 않게 그 과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이다. 주어진 과제가 나란 사람을 구성하는 정체성의 핵심과 동일시된 것은 아니니, 그 과제에 실패한다고 해서 나란 사람의 핵심이 흔들리거나 훼손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포기의 용기가 필요한 이유다. 끝없이 매달려 있는다고 고진감래의 날이 오기보다 그저 그런 성적표만 내 앞에 놓여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 마음 안에 반복된 실패로 인한 열등감이 어느새 중심에 단단히 자리잡아 버린다. 자존감이 낮으니 반복된 실패에도 제자리에 머물러 있고, 그 결과 자존감은 더 떨어지는 악순환만 남는다.
어느 한계를 정해 놓고 그때까지는 최선을 다해 보지만, 아니다 싶은 순간이 오면 손해를 직면하더라도 과감히 포기를 선언하는 마음가짐은 어떨까. 과한 동일시를 하지 않는 한 실패를 인정하고 포기한다고 삶의 코어는 훼손되지 않는다. 좋은 점은 반복되던 고통을 더이상 느끼지 않아도 되고, 새로운 일이 내 재능과 합이 맞는 걸 발견할 의외의 기회가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잘 못하는 것에 매달려 있다가 새 일을 시작할 에너지조차 남지 않게 소진돼 버리기 전에 포기할 건 포기할 수 있는 것, 그것이 오랫동안 나를 지켜내 줄 용기라 생각한다.
2019-10-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