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70년대 교실/최용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70년대 교실/최용규 논설위원

입력 2012-01-13 00:00
수정 2012-01-13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79년 한겨울 조례 시간. 봉걸레 자루로 호되게 매질을 당하던 S는 “(학교)안 다니면 될 것 아냐.”라며 고함을 버럭 지른 뒤 교실 문을 박차고 나갔다. 선생님을 노려보던 그 눈빛, 후드득… 주판알처럼 튀던 교복 단추. 그날 이후 S를 단 한번도 본 적이 없지만 꽁꽁 얼어붙었던 교실풍경은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또렷이 살아 움직인다. S는 요즘으로 치면 ‘일진’이었다. 그러나 S와 그의 홍위병들은 반 친구(?)들을 해코지하는 법이 없었다. 후문 옆 ‘하코방’(판잣집)에서 ‘까치담배’(개비담배)를 피우며 그들만의 세상을 구가했다. 그 시절 그들의 무대는 학교가 아니었다. 자연히 왕따도, 집단 괴롭힘도 없었다.

세월이 흘러 학교도, 일진도 변했다. 얼마전 몰래 훔쳐본 아이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가 가슴을 철렁하게 만든다. 이대로 학교를 보내도 될까. 무사히 고등학교를 마칠 수 있을까. 자신은 없고 끝모를 걱정만 앞선다. 30여년 전 나의 부모님도 똑같은 생각이었을까. 적어도 ‘짱’, ‘일진’은 지금과 같지 않았다. 약자를 건드리는 법이 없었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2-01-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