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한겨울 조례 시간. 봉걸레 자루로 호되게 매질을 당하던 S는 “(학교)안 다니면 될 것 아냐.”라며 고함을 버럭 지른 뒤 교실 문을 박차고 나갔다. 선생님을 노려보던 그 눈빛, 후드득… 주판알처럼 튀던 교복 단추. 그날 이후 S를 단 한번도 본 적이 없지만 꽁꽁 얼어붙었던 교실풍경은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또렷이 살아 움직인다. S는 요즘으로 치면 ‘일진’이었다. 그러나 S와 그의 홍위병들은 반 친구(?)들을 해코지하는 법이 없었다. 후문 옆 ‘하코방’(판잣집)에서 ‘까치담배’(개비담배)를 피우며 그들만의 세상을 구가했다. 그 시절 그들의 무대는 학교가 아니었다. 자연히 왕따도, 집단 괴롭힘도 없었다.
세월이 흘러 학교도, 일진도 변했다. 얼마전 몰래 훔쳐본 아이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가 가슴을 철렁하게 만든다. 이대로 학교를 보내도 될까. 무사히 고등학교를 마칠 수 있을까. 자신은 없고 끝모를 걱정만 앞선다. 30여년 전 나의 부모님도 똑같은 생각이었을까. 적어도 ‘짱’, ‘일진’은 지금과 같지 않았다. 약자를 건드리는 법이 없었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세월이 흘러 학교도, 일진도 변했다. 얼마전 몰래 훔쳐본 아이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가 가슴을 철렁하게 만든다. 이대로 학교를 보내도 될까. 무사히 고등학교를 마칠 수 있을까. 자신은 없고 끝모를 걱정만 앞선다. 30여년 전 나의 부모님도 똑같은 생각이었을까. 적어도 ‘짱’, ‘일진’은 지금과 같지 않았다. 약자를 건드리는 법이 없었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2-01-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