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을 하면서 받은 명함이 3000장 안팎은 될 것 같다. 내 명함 또한 그만큼 다른 사람에게 건넸을 것이다. 이 정도는 그리 많은 편은 아니다. 영업 업무를 오래 한 어떤 중견 직장인은 책장 하나를 명함집으로 꽉 채우고 있었다. 명함집 한 권에 몇 백장을 보관하므로 100권이면 몇 만명을 만난 셈이다. 요즘 나온 스마트폰 명함 앱에도 다 보관하지 못할 엄청난 양이다.
수집한 우표를 보관하듯 처음에는 받은 명함을 분류해서 명함집에 곱게 간직했다. 그러면서 가끔은 명함집을 열어 보며 주인의 얼굴도 떠올려 보곤 했다. 지금까지 가끔이라도 연락하는 명함의 주인공은 3000명 중에 10%나 될까. 그저 명함만 주고받은 스쳐간 인연이 훨씬 많은 듯싶다.
어떤 후배가 명함을 받으면 주인공에 관해 알게 된 것을 뒷면에 깨알같이 적어서 보관하고 있었다. 그 사람의 특징이나 가족 관계, 대화 내용 등이다. 작은 인연이라도 잊지 않으려는 노력이다. 다시 만난다면 명함만 찾아봐도 기억을 쉽게 떠올려 금세 가까워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손성진 수석논설위원 sonsj@seoul.co.kr
수집한 우표를 보관하듯 처음에는 받은 명함을 분류해서 명함집에 곱게 간직했다. 그러면서 가끔은 명함집을 열어 보며 주인의 얼굴도 떠올려 보곤 했다. 지금까지 가끔이라도 연락하는 명함의 주인공은 3000명 중에 10%나 될까. 그저 명함만 주고받은 스쳐간 인연이 훨씬 많은 듯싶다.
어떤 후배가 명함을 받으면 주인공에 관해 알게 된 것을 뒷면에 깨알같이 적어서 보관하고 있었다. 그 사람의 특징이나 가족 관계, 대화 내용 등이다. 작은 인연이라도 잊지 않으려는 노력이다. 다시 만난다면 명함만 찾아봐도 기억을 쉽게 떠올려 금세 가까워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손성진 수석논설위원 sonsj@seoul.co.kr
2014-01-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