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에 나와 책상 앞에 앉아 있는 게 일이다 보니 하루의 일상은 늘 패턴을 이룬다. 기상-운동-출근-업무-퇴근-약속-귀가로 이어지는 쳇바퀴 속에서 하루를 돌린다. 이 얼개 속 작은 일상에도 패턴이 존재한다. 가령 아침에 사무실로 나와 가장 먼저 하는 일은 늘 커피 내리기다. 커피를 내린 다음 컴퓨터를 부팅하고 인터넷으로 아침 기사를 일독한 뒤 화장실엘 간다. 페이스북 ‘눈팅’은 꼭 변기에 앉아 해야 제 맛이다. 이 정교한(?) 순서가 어쩌다 뒤섞이거나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까닭 모를 불편함 내지 심지어 불안감까지 엄습한다.
습관의 핵심은 관성이라던가. 그리고 이 관성은 ‘변화를 거부하는 힘’이라고 하던가. 어느 날 아침 돌연 이 패턴을 깨고 싶어졌다.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선 뒤로 생긴 콤플렉스, ‘정체에 대한 과잉 거부감’이 ‘거사’를 꼬드겼다. 커피를 내리지 않았고, 스마트폰을 놔두고 화장실엘 갔다.
패턴 파괴의 대가는 컸다. 종일 붕 떠 있는 기분, 허전한 느낌을 떨치지 못했다. 관성에 담긴 ‘최대정지마찰력’의 힘은 나이와 비례하는 모양이다. 패턴, 심리적 자궁이 분명하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습관의 핵심은 관성이라던가. 그리고 이 관성은 ‘변화를 거부하는 힘’이라고 하던가. 어느 날 아침 돌연 이 패턴을 깨고 싶어졌다. 지천명의 나이에 들어선 뒤로 생긴 콤플렉스, ‘정체에 대한 과잉 거부감’이 ‘거사’를 꼬드겼다. 커피를 내리지 않았고, 스마트폰을 놔두고 화장실엘 갔다.
패턴 파괴의 대가는 컸다. 종일 붕 떠 있는 기분, 허전한 느낌을 떨치지 못했다. 관성에 담긴 ‘최대정지마찰력’의 힘은 나이와 비례하는 모양이다. 패턴, 심리적 자궁이 분명하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4-11-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