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블루베리/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블루베리/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기자
입력 2015-04-07 23:48
수정 2015-04-08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늦어도 4월 초에는 씨감자를 넣어 주어야 6월 21일 전후로 하지 감자를 수확할 수 있다. 도시 농부를 몇 년 동안 해 보니 농작물은 싹을 내고 자라 수확하는 데 대체로 100일 안팎의 날짜가 필요하다. 김장 배추도 100일 배추가 가장 맛있다고 하지 않는가 말이다. 얼마 전 씨감자를 텃밭에 넣어 주면서 상추 등 쌈채소의 모종을 사 심으려고 했다. 그런데 일단 저지르고 보는 사람답게 종류가 완전히 다른 범주의 식물을 돌보기로 결정해 주위의 걱정을 사고 있다.

경기도 능곡재래시장에서 벌어진 일이다. 쌈채소 모종만 사들고 와야 하는데, 흰색 꽃이 무더기로 달린 나무가 예뻐 보이기에 충동적으로 사 들고 와 텃밭에 심었다. 블루베리다. 도시 농부 선배들은 임차한 땅에 나무를 심는다며 혀를 찼다. 퇴거 명령이 내려지면 화분에 옮겨 심어야 하기 때문이다. 블루베리 열매가 달리면 손 타기 좋은 모퉁이에 심어 두었다는 것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블루베리는 산성토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피트모스라는 특정한 흙을 사서 다시 심어야 한다는 조언이 충격적이다. 봄 가뭄이 심한 탓에 물도 자주 줘야 하니 충동구매로 올해 텃밭에 손이 많이 가게 생겼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4-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