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지공족’의 가을/구본영 논설고문

[길섶에서] ‘지공족’의 가을/구본영 논설고문

구본영 기자
입력 2015-10-19 17:56
수정 2015-10-20 0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늦은 오후의 가을 햇볕은 오래 흘러온 강물을 깊게 만들다/…여고 2학년 저 종종걸음 치는 발걸음을 붉게 만들다” 고운기 시인의 ‘가을 햇살’의 일부다. 시구처럼 이 가을도 깊은 강물처럼 사색에 잠기게 해 놓고 잰걸음으로 우리 곁을 떠나갈 것만 같다.

가을은 이처럼 속절없이 깊어만 가는가. TV 뉴스에 비친 설악산은 짙은 단풍으로 타오르고 있었다. 봄, 여름 그토록 무성했던 푸른 잎들이 어느 새…. 이런 상념에 젖어 들 즈음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 오래전 현업을 떠난 한 선배가 낙엽처럼 졌다는 부음이었다. 문득 선배가 생전에 했던 말이 떠올랐다. 앞으로 지하철을 공짜로 탈 수 있게 됐다는 뜻으로 “‘지공족’이 됐으니 축하해 달라”며 지었던, 착잡한 표정도.

선배가 남긴 농담의 여운 때문일까. 조간신문에서 정부의 고령사회 대책에 눈길이 갔다. 특히 지하철 등 공공시설의 무료 이용 연령이 현재는 65세인데 이를 상향 조정한다는 대목이 눈에 띄었다. 정책을 바꾸는 데는 그만한 까닭이 있을 터. 그렇다 하더라도 노년을 가을볕에 반짝이는 단풍처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데 정책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10-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