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호박꽃/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호박꽃/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09-20 23:04
수정 2016-09-21 0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 앞 유치원 울타리에는 손바닥만 한 호박꽃이 여름내 지천이었다. 오가며 들여다보는 즐거움이 말 못하게 쏠쏠했다. 일부러 그 길목으로 길을 잡아 느린 걸음을 한 적도 많다. 한 뼘 흙에만 의지해도 뿌릿발을 내리는 게 씨앗이지만 호박은 다르다. 울도 담도 없는 아파트촌에서 절로 싹이 날 리 없다.

무슨 마음으로 쇠 울타리 밑에 호박씨를 묻었을까 번번이 궁금했다. 낮밤으로 오므렸다 폈다 하는 꽃초롱만 봐도 좋겠다는 계산 아니고서야. 보나 마나 얼치기 농사꾼. 요란한 덩굴손에 꽃송이만 소란케 하더니 역시나 열매 하나 못 건지고, 가을!

고향집 담벼락의 호박들이야 나날이 힘껏 둥글어 갈 때다. 철 잊은 늦꽃이 밤 마당을 노란 등으로 밝힐 것이고. 저것들 다 익으면 어느 자식 몫일지 덩이마다 이름표가 붙었을 것이고.

추석 지난 지 며칠째라고, 육교 아래 쪼그린 할머니는 아침부터 좌판에 둥근 호박을 내놓았다. 새벽이슬을 털고 따왔는지 꼭지에 도는 푸른 물. 아들딸 이름표 다 붙이고 남은 것일까, 연휴 내내 빈집만 지키다 빈 마음에 좌판이라도 폈을까. 이 생각 저 생각에 하릴없이 풋호박을 사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09-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