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봄의 생략/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봄의 생략/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19-04-23 17:22
수정 2019-04-24 0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뚜렷한 사계절은 꽤 오랫동안 우리의 자랑이었다. 꽃이 피고 새싹이 돋아나며 얼굴에 와닿는 바람맛이 달랐다. 봄햇살은 질리지도 않았고, 해질녘까지 마냥 쬐고팠다. 숱한 시인과 화가들이 봄의 풋풋한 풍경과 기억을 노래하고 색을 입혔다. 그 시들을 읊조리다 보면 특별한 일은 없었지만, 왠지 뭔가 근사한 일이 벌어질 듯한 설렘이 있었다. 봄에만 느낄 수 있는 또 다른 감정이었다.

언제부턴가 봄이 사라졌다. 날이 풀리는가 싶다가 미세먼지 범벅의 봄을 건너뛰고 이내 여름이 시작된다. 온난화 탓이다. 산업화 과정 속 앞다퉈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누린 물질적 풍요로움의 대가로 치른 결과다. 물론 지구 나이 46억년을 감안하면 끽해야 3만년 안팎으로 출현한 현생 인류가 지구의 생태에 미친 악영향은 어마어마하다. 지질학자들은 현세는 공룡멸종 시기와 맞먹는 대멸종기며 종다양성의 훼손이 과거보다 최고 1000배 가까이 빠르게 진행된다고 진단한다. 이렇게 봄도 멸종하는 걸까. 이렇게 말하니 영 삭막하다. 자문해 본다. 혹시 중년 즈음에 들어서며 새로움을 받아들일 마음을 잃어버린 건 아닌지. ‘어느 이랑에서나 즐거웁게 솟쳐라’고 노래한 시인 윤동주의 ‘즐거운 종달새’처럼 봄을 느껴야겠다. 봄날은 아직 다 가지 않았다.

youngtan@seoul.co.kr
2019-04-24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