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년 전 서울 종로서적이 문을 닫았을 때 추억의 일부가 허물어지는 것 같았다. 갓 스물에 상경해서 지리도 모르던 내가 시내에 나오면 약속 장소로 잡던 곳, 적은 용돈을 쪼개 비싼 책을 선뜻 집어들곤 했던 곳이 종로서적이었다.
수백 년 동안 꿋꿋이 한자리를 지키고 있는 유럽의 카페처럼 오랫동안 살았거나 드나들던 곳들이 건재하다면 언제라도 다시 찾을 수 있는 고향을 몇 개나 가진 것처럼 든든할 것이다.
아쉽게도 개발 바람은 기억이 켜켜이 쌓여 있는 장소들을 그냥 내버려 두지 않았다. 과거에 살았던 집들은 흔적이 없고 철없던 시절 다녔던 허름한 술집이나 음악 다실도 이젠 찾을 수 없다.
사라지는 것들은 저만 사라지지 않고 잇닿은 기억마저 가져가 버리니 마음이 아릿아릿하다. 매개체들이 없는데 나만의 힘으로 희미해져 가는 기억을 붙잡을 수 있을지 영 자신이 없다.
스카라, 명보, 단성사, 국도…. 청춘의 발자국이 찍혔던 영화관들도 기억의 저편으로 넘어간 지 오래다.
그동안 잘 버텨왔던 서울극장이 42년 만에 결국 문을 닫는다고 한다. ‘극장’이란 간판도 몇 남지 않았다. 모든 것이 사라지기 전에 내 삶의 자취를 더듬어 보는 ‘기억의 순례’라도 해야겠다.
수백 년 동안 꿋꿋이 한자리를 지키고 있는 유럽의 카페처럼 오랫동안 살았거나 드나들던 곳들이 건재하다면 언제라도 다시 찾을 수 있는 고향을 몇 개나 가진 것처럼 든든할 것이다.
아쉽게도 개발 바람은 기억이 켜켜이 쌓여 있는 장소들을 그냥 내버려 두지 않았다. 과거에 살았던 집들은 흔적이 없고 철없던 시절 다녔던 허름한 술집이나 음악 다실도 이젠 찾을 수 없다.
사라지는 것들은 저만 사라지지 않고 잇닿은 기억마저 가져가 버리니 마음이 아릿아릿하다. 매개체들이 없는데 나만의 힘으로 희미해져 가는 기억을 붙잡을 수 있을지 영 자신이 없다.
스카라, 명보, 단성사, 국도…. 청춘의 발자국이 찍혔던 영화관들도 기억의 저편으로 넘어간 지 오래다.
그동안 잘 버텨왔던 서울극장이 42년 만에 결국 문을 닫는다고 한다. ‘극장’이란 간판도 몇 남지 않았다. 모든 것이 사라지기 전에 내 삶의 자취를 더듬어 보는 ‘기억의 순례’라도 해야겠다.
2021-07-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