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불교의 ‘살아있는 부처’(活佛)인 달라이 라마. 달라이는 몽골어로 바다를 뜻하고, 라마는 티베트어로 스승, 승려를 의미한다. 사방이 광활한 초원과 험준한 고산지대로 둘러싸인 티베트에서 ‘바다의 스승’이라니. 어쨌든 티베트인들에게 달라이 라마는 미지의 세계까지 아울러 ‘온 세상의 지도자’로 추앙받는 존재다. 불교적으로는 관음보살의 화신이기도 하다. 17세기 중반 달라이 라마 5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티베트 불교 지도자들이 전임자의 환생자를 지목해 죽 계승돼 왔다. 현재의 달라이 라마 14세는 다섯 살 때인 1940년 활불로 뽑혀 아름다운 라싸(拉薩) 포탈라궁의 주인이 됐다.
하지만, 지금 그 포탈라궁 앞 광장에는 해방기념탑이 우뚝하니 세워져 있다. 공산혁명 후 1년 만인 1950년 중국 인민해방군이 봉건주의 농노 상태의 티베트인들을 평화적(?)으로 해방시켰다는 기념물이다. 광장 중심의 국기게양대에는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자랑스럽게 펄럭이며 이곳이 중국 땅임을 웅변하고 있다. 반면 원래의 주인이었던 달라이 라마 14세는 1959년 ‘3월 봉기’가 실패로 끝난 후 티베트인들과 함께 험준한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지금까지 유목민처럼 전 세계를 떠돌며 비폭력 자치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런 달라이 라마 14세를 중국 정부는 언제나 눈엣가시로 여겨왔다. 분리주의 세력을 선동하는 협잡꾼으로 규정하고 그의 활동을 매도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티베트는 역사적으로 중국 땅이기 때문에 티베트의 분리독립을 거론하거나 그런 활동을 하는 달라이 라마 14세를 만나는 것은 중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논리다. 중국이 주장하는 핵심 이익은 영토주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티베트와 신장(新彊), 타이완에 이어 최근에는 남중국해까지 확대됐다.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는 등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주요 2개국(G2)이 된 이후에는 힘으로 달라이 라마 14세의 국제적 활동을 억누르고 있다. 프랑스, 영국, 캐나다 등 서방국가 지도자들이 달라이 라마 14세를 만났다가 경제제재를 받는 등 혼쭐이 나기도 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그제 달라이 라마 14세를 면담했다. 2010년, 2011년에 이어 세 번째이다. 중국은 내정간섭이라며 예상대로 즉각 반발했다. 앞선 두 차례 만남에 대해 중국은 항의 외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번에도 뾰족한 제재 수단은 없어 보인다. 아직까지도 힘으로 미국을 억누르기에는 역부족인 모양이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하지만, 지금 그 포탈라궁 앞 광장에는 해방기념탑이 우뚝하니 세워져 있다. 공산혁명 후 1년 만인 1950년 중국 인민해방군이 봉건주의 농노 상태의 티베트인들을 평화적(?)으로 해방시켰다는 기념물이다. 광장 중심의 국기게양대에는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자랑스럽게 펄럭이며 이곳이 중국 땅임을 웅변하고 있다. 반면 원래의 주인이었던 달라이 라마 14세는 1959년 ‘3월 봉기’가 실패로 끝난 후 티베트인들과 함께 험준한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지금까지 유목민처럼 전 세계를 떠돌며 비폭력 자치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런 달라이 라마 14세를 중국 정부는 언제나 눈엣가시로 여겨왔다. 분리주의 세력을 선동하는 협잡꾼으로 규정하고 그의 활동을 매도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티베트는 역사적으로 중국 땅이기 때문에 티베트의 분리독립을 거론하거나 그런 활동을 하는 달라이 라마 14세를 만나는 것은 중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논리다. 중국이 주장하는 핵심 이익은 영토주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티베트와 신장(新彊), 타이완에 이어 최근에는 남중국해까지 확대됐다.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는 등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주요 2개국(G2)이 된 이후에는 힘으로 달라이 라마 14세의 국제적 활동을 억누르고 있다. 프랑스, 영국, 캐나다 등 서방국가 지도자들이 달라이 라마 14세를 만났다가 경제제재를 받는 등 혼쭐이 나기도 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그제 달라이 라마 14세를 면담했다. 2010년, 2011년에 이어 세 번째이다. 중국은 내정간섭이라며 예상대로 즉각 반발했다. 앞선 두 차례 만남에 대해 중국은 항의 외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번에도 뾰족한 제재 수단은 없어 보인다. 아직까지도 힘으로 미국을 억누르기에는 역부족인 모양이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4-02-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