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리장성은 우주 공간에서도 볼 수 있는, 인간이 만든 유일한 구조물로 알려져 있다. 조만간 이에 버금갈 새 구조물이 아메리카 대륙에도 만들어질 것 같다. 멕시코 장벽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에 장벽을 건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서에 공식 서명했다. 불법 이민자나 각종 범죄자의 무단 입국을 막겠다는 것이 장벽 설치의 목적이다. 미국 정부는 조만간 멕시코 정부와 협상을 거쳐 수개월 안에 장벽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장벽 건설에 필요한 천문학적인 비용(약 150억 달러)은 전적으로 멕시코에 부담시키겠다고 한다. 멕시코 정부는 당연히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발끈하고 있지만 벌써 시멘트 회사의 주가가 상한가 행진을 거듭하고 있다니 실제 건설될 가능성은 커 보인다.
멕시코 장벽으로 불리는 이 장벽은 길이가 약 3200㎞에 이른다.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뉴멕시코, 텍사스주 등에 걸쳐 있다. 만리장성(약 6000㎞)에 비해 짧지만 북아메리카 대륙의 허리를 가로지른다. 이 가운데 서쪽 1000여㎞ 구간에는 2006년 조지 부시 행정부 때 서명된 안보장벽법(Secure Fence Act)에 따라 울타리가 이미 설치돼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울타리보다 훨씬 견고한 콘크리트로 장벽을 설치할 모양새다.
장벽은 원래 외세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설치되기 마련이다. 유럽의 중세 성들이나 중국의 만리장성, 우리나라의 산성들 모두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영토를 지키고 백성의 목숨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국가나 체제 간의 장벽은 세계인들이 모두 기억하는 베를린 장벽일 것이다. 1961년 세워진 베를린 장벽은 1989년 9월 동독 시민 수만 명이 장벽을 허물고 서베를린으로 넘어갈 때까지 냉전 시대의 상징물이었다. 30여년의 세월 동안 베를린 장벽은 독일 국민에게 눈물과 아픔을 안겨 줬다. 6·25 전쟁 이후 생겨난 한반도의 휴전선과 비무장지대(DMZ) 또한 마찬가지다. 콘크리트나 성벽과 같은 장벽은 아닐지라도 어쩌면 인류 역사상 가장 단단한 민족 분단의 장벽으로 지금껏 남아 있다.
장벽은 단절을 의미한다. 마음의 장벽, 언어와 문화의 장벽, 민족과 인종 간의 무형의 장벽 또한 마찬가지다. 그래서 빨리 없애야 하는 제거의 대상으로 삼는 게 인류 보편적인 상식이다. 동·서독 국민을 가로막은 베를린 장벽은 길이가 43㎞에 불과했지만, 당시 서독 정부는 이를 ‘수치의 벽’이라고 불렀다. 미국민들은 멕시코 장벽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지 궁금해진다. 빈대 잡자고 초가삼간 태운 사례로 꼽을까. 최고의 민주 국가로 자부하던 미국의 이미지를 국수주의에 빠진 2류 국가로 추락시킨 트럼프 정부의 상징물이라는 말을 들을 수도 있지 않을까.
이동구 논설위원 yidonggu@seoul.co.kr
멕시코 장벽으로 불리는 이 장벽은 길이가 약 3200㎞에 이른다.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뉴멕시코, 텍사스주 등에 걸쳐 있다. 만리장성(약 6000㎞)에 비해 짧지만 북아메리카 대륙의 허리를 가로지른다. 이 가운데 서쪽 1000여㎞ 구간에는 2006년 조지 부시 행정부 때 서명된 안보장벽법(Secure Fence Act)에 따라 울타리가 이미 설치돼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울타리보다 훨씬 견고한 콘크리트로 장벽을 설치할 모양새다.
장벽은 원래 외세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설치되기 마련이다. 유럽의 중세 성들이나 중국의 만리장성, 우리나라의 산성들 모두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영토를 지키고 백성의 목숨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국가나 체제 간의 장벽은 세계인들이 모두 기억하는 베를린 장벽일 것이다. 1961년 세워진 베를린 장벽은 1989년 9월 동독 시민 수만 명이 장벽을 허물고 서베를린으로 넘어갈 때까지 냉전 시대의 상징물이었다. 30여년의 세월 동안 베를린 장벽은 독일 국민에게 눈물과 아픔을 안겨 줬다. 6·25 전쟁 이후 생겨난 한반도의 휴전선과 비무장지대(DMZ) 또한 마찬가지다. 콘크리트나 성벽과 같은 장벽은 아닐지라도 어쩌면 인류 역사상 가장 단단한 민족 분단의 장벽으로 지금껏 남아 있다.
장벽은 단절을 의미한다. 마음의 장벽, 언어와 문화의 장벽, 민족과 인종 간의 무형의 장벽 또한 마찬가지다. 그래서 빨리 없애야 하는 제거의 대상으로 삼는 게 인류 보편적인 상식이다. 동·서독 국민을 가로막은 베를린 장벽은 길이가 43㎞에 불과했지만, 당시 서독 정부는 이를 ‘수치의 벽’이라고 불렀다. 미국민들은 멕시코 장벽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지 궁금해진다. 빈대 잡자고 초가삼간 태운 사례로 꼽을까. 최고의 민주 국가로 자부하던 미국의 이미지를 국수주의에 빠진 2류 국가로 추락시킨 트럼프 정부의 상징물이라는 말을 들을 수도 있지 않을까.
이동구 논설위원 yidonggu@seoul.co.kr
2017-01-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