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저 와준 오늘이 고맙기는 하여도/ 죽어도 오고 마는 또 내일이 두렵다/ 아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 아 테스형 소크라테스형/ 사랑은 또 왜 이래/ 너 자신을 알라며 툭 내뱉고 간 말을/ 내가 어찌 알겠소 모르겠소 테스형’. 그는 “세월은 너나 할 것 없이 어떻게 할 수 없는 모양”이라면서 “이왕 세월 가는 거 끌려가면 안 된다. 모가지를 딱 비틀어서 우리가 세월을 끌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노래를 엉겁결에 띄워 준 이는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계몽군주라고 칭송하는 듯한 발언으로 손가락질깨나 받은 그는 “계몽군주 가지고 떠드는 분들은 2500년 전 아테네에 태어났으면 소크라테스를 고발했을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테스형이 고생이 많다”고 이죽거렸다. 이에 윤평중 한신대 교수는 “장안의 지가를 올린 자칭 지식인보다, 광대를 자처하는 한 예인(藝人)이 소크라테스에 훨씬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한다”고 비판적으로 접근했다. 비판이 쇄도하자 유 이사장은 “공부를 너무 많이 한 죄”라며 시민들의 무지를 개탄했다.
그런데 소크라테스는 정작 어떤 사람이었을까? 그는 위대한 철학자일지언정 성인 축에 들 수 없다. 그가 시류나 권력에 아부하는 이들을 경멸한 것도 맞고, 진리에 매진한 것도 맞지만 근대 민주주의 철학과는 맞지 않는다. 아테네 민중 앞에서 조국을 패퇴시킨 스파르타를 이상 국가로 꼽고, 군인들은 생각과 행동이 일치돼야 하니 재산도 배우자도 자식도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혼을 국가가 관장해 뛰어난 사람과 열등한 사람이 짝짓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믿었다. 장애인은 내다 버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너 자신을 알라’는, 스스로 모른다고 생각해야 대화가 시작돼 진리를 좇을 수 있다는 의미다. 나훈아에게도 유 이사장에게도 소크라테스의 교훈이 체화된 흔적이 없다.
나훈아가 “국민 때문에 목숨을 걸었다는 왕이나 대통령은 한 사람도 본 적이 없다”고 발언하자 야권이 열광했다. 특히 국민의힘 등이 반색해 대통령과 정부 공격에 활용하고자 한다. 부적절하다. 다만 연륜이 깊어진 가객이 내뱉은 말들로 추석 민심이 들썩거리는 것은 눈여겨볼 만하다. 쌓인 감정들이 많은 것이다. 대중을 원하는 곳으로 정확히 이끄는 나훈아의 능력, 정치인들이 배울 덕목이 없지 않다.
bsnim@seoul.co.kr
2020-10-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