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국제사회는 ‘스트롱맨’의 시대다. 내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필두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이 주인공이다. 이들 중 푸틴과 네타냐후는 각각 우크라이나,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쟁을 벌였다. 21세기 지구촌에서 지금 벌어지는 전쟁은 스트롱맨들이 ‘총대’를 메고 나선 결과물인 셈이다.
네타냐후는 최근 가자전쟁 15개월 만에 6주간 휴전을 선언했다. 인질 명단 문제로 어제 오후까지도 휴전 발효를 늦추며 공격을 가했던 네타냐후가 앞서 휴전에 동의한 배경을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집권 2기를 시작하는 트럼프한테 잘 보이려 했다는 설이 가장 힘을 얻는다. 네타냐후는 가자 휴전을 위해 힘써 온 조 바이든 미 대통령보다 트럼프와 먼저 통화하고 “인질과 가족들의 고통을 끝내 준 데” 감사를 표했다. 두 사람이 곧 워싱턴에서 만나기로 합의했다고도 밝혔다. 그는 또 “트럼프가 당선된 순간부터 인질 석방 등 휴전 협상에 참여해 왔다”며 협상의 공을 트럼프에게 돌렸다.
네타냐후가 트럼프에게 보낸 ‘러브콜’은 일단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국내적으로는 위기에 봉착한 모양새다. 극우 정치인들이 가자 휴전 승인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사의를 밝히면서 연정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네타냐후는 연정이 붕괴하면 가자전쟁 등을 통해 연명해 온 정치생명에 위협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휴전 2단계 협상이 실패하면 전쟁을 재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스트롱맨 자리를 지키기 위해 트럼프와 극우 정당의 눈치를 보며 줄타기를 해야 하는 형국인 것이다.
국제형사재판소(ICC)가 지난해 5월 네타냐후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해 11월 영장을 발부한 것도 네타냐후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 이에 미국과 이스라엘은 반발하고 미 하원은 ICC 제재 법안까지 통과시켰다. 트럼프 취임 후 네타냐후와의 ‘브로맨스’가 어디까지 갈 것인지 벌써 궁금하다.
김미경 논설위원
2025-01-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