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사회적 불평등과 신조어/조인호 연세대 언론대학원 교수

[열린세상] 사회적 불평등과 신조어/조인호 연세대 언론대학원 교수

입력 2016-01-29 17:58
수정 2016-01-29 18: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인호 데이터엔비욘드 대표이사
조인호 데이터엔비욘드 대표이사
지난해에도 우리 사회에서는 수많은 신조어가 만들어져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 안으로 편입됐다. 2014년 후반에 출현해 우리 사회의 불합리한 단면을 묘사하는 용어로 광범위하게 사용된 ‘열정페이’나 지난해 벽두부터 사회적 불평등과 청년 문제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산된 ‘5포 세대’, 그해 초반부터 인터넷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유통되기 시작한 ‘금수저’와 ‘흙수저’가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우리는 언어라는 수단을 통해 타인과 교류하고 자신을 이해시킨다. 다시 말해 언어는 우리를 둘러싼 세상에 대한 이해를 구성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사회를 지탱하고 변화시키는 살아 있는 생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신조어의 출현은 기술적 발전, 정치·문화적 변화에 적응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추구하는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굳이 저명한 언어철학자들의 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언어 사용이 우리가 가진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개인적 수준의 언어 사용은 경험을 공유하는 개인들에 의해 통합되며, 하위문화의 형성을 통해 사회에 대해 독특하며 새로운 이해 방식을 드러내기도 한다. 전통적인 미디어를 포함해 기성세대가 사회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이 특정한 경험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경험에 부합하는 인식, 염원, 기대를 담아 새로운 어휘와 표현 방식이 구축되며 기성세대와의 언어적 간격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신조어라는 형태로 우리 앞에 출현하는 언어적 간격은 우리 사회가 어떤 갈등을 가지고 있는지, 사회적 통합에 대한 장애물로서 가지고 있는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리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신조어들 가운데 앞서 언급한 신조어들처럼 정치·문화적 영역과 관련이 있는 단어들이 변화보다는 단절과 체념을 젊은 세대들 사이에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자아내게 한다. 많은 이들이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문제로 사회적 불평등을 지적한다.

평등이 사회적 지위, 부, 삶의 조건에서 유사한 기회를 얻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면, 사회적 불평등은 사회 속에서 많은 개인과 집단들이 경험하는 평등의 부재 상태를 의미한다. ‘열정페이’, ‘5포 세대’, ‘금수저·흙수저’와 같은 신조어들은 젊은 세대들이 자신들이 경험한 사회적 불평등과 이와 관련된 자신들의 위치와 박탈된 기회를 표현한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문제를 알리는 경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조어들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더욱더 우울한 결론으로 우리를 이끈다. 필자는 지난해 7월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검색량이 증가한 ‘헬조선’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한 적이 있다. 뉴스를 제외한 웹문서와 블로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헬조선’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된 단어들의 상위권에 ‘지옥’, ‘절망’, ‘초월’, ‘직업’, ‘혐오’, ‘자조’ 등의 단어가 나타나 ‘헬조선’이라는 신조어가 현재 상태의 변화에 대한 기대를 담기보다는 극단적 실망과 체념을 담아내기 위한 단어로 선택됨을 보여 주었다.

최근 한 달 동안 ‘금수저’와 ‘흙수저’를 포함한 포털 사이트 문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이들 단어가 ‘돈’, ‘부모’, ‘계급’, ‘절망’ 등의 단어와 함께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금수저·흙수저’라는 신조어가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의해 고착화된 계급사회와 계층적 이동의 기회가 박탈된 사회에 대한 체념을 표출하려는 것임을 보여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언어의 사용이 현재의 우리를 규정하고 미래의 긍정적 변화를 담보하는 수단이라고 한다면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신조어들은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들 사이의 인식론적 장벽을 강화하고 사회적 통합은 약화시키고 있음이 분명하다. 우리는 신조어가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결속과 현 상태의 개선 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강화시키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불평등에 놓여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들의 긍정적 경험의 공유가 필수적이다. 지금이 우리 사회가 공정성과 평등, 통합을 위한 실천적 행위에 나서야 할 때다.
2016-01-3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