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은행 ‘가오’의 가치와 DLF 사태/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열린세상] 은행 ‘가오’의 가치와 DLF 사태/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9-10-10 17:34
수정 2019-10-11 02: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냐?” 영화 베테랑(2015)에서 서도철 형사(황정민 분)가 남긴 명대사이다. 대기업으로부터 금품을 받고 사건을 무마하려는 듯 보이는 다른 경찰에게 던진 말이다. 얼굴을 뜻하는 일본 말에서 온 ‘가오’는 흔히 “겉으로 드러나는 멋이나 명예” 등을 의미한다. 경찰은 박봉이지만 멋이나 명예를 지켜야 하는데 사실 경찰이 ‘가오’를 포기하고 돈을 좇는다면 그 자체가 범법이기 십상이다.

‘가오’를 이용하거나 일부를 팔아서 돈을 버는 업종이라면 어떨까. 금융업이 좋은 사례이다. 다만 ‘가오’가 표준어가 아니고 금융 부문에서도 잘 쓰이지 않으니 이제부터는 명성 또는 평판이란 단어를 사용하자. 똑같은 의미는 아니지만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최근 해외 주요국 금리에 연계된 파생결합펀드(DLF)의 대규모 원금 손실 문제가 불거진 바 있다. 파생결합펀드는 파생결합증권(DLS)을 주요 투자 대상으로 삼는 펀드로서 위험이 매우 큰 편이다. 이런 상품을 금융지식이 충분하지 못한 개인들에게 판매했다가 원금 손실을 입게 된 것이 ‘DLF 사태’의 골자이다.

은행들은 주로 안전한 금융상품을 취급한다는 ‘평판’이 있다. 더욱이 이번에 문제가 된 우리은행이나 KEB하나은행 등은 국민 누구에게나 잘 알려진 대형 은행들이다. 이런 평판과 명성을 등에 업고 높은 금리를 강조하면서 위험에 대한 설명을 슬며시 감춘다면 많은 소비자가 쉽게 가입하지 않겠는가.

이번에 문제가 된 파생결합증권은 독일, 미국, 영국 등의 주요 금융상품 금리에 연동된 것들이다. 이 금리가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금리가 하락한다면 원금 전체가 사라질 수도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요약하면 간단해 보일 수도 있으나 세부 구조는 더 복잡하다. 게다가 다른 나라의 금리가 어느 수준인지,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지에 대해 잘 아는 금융소비자들은 많지 않다.

파생결합증권의 구조나 위험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이루어졌다면 투자자의 책임도 있다. 그러나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는 불완전판매가 많았다는 것이다. 일종의 사기 행위이니 고소를 하겠다는 움직임도 있고 고발에 대해서도 검토되고 있다. 관련 법규를 어겼을 경우 금융감독원의 제재나 법적인 처벌을 받는 것은 당연하며 이 결과는 더 기다려 봐야 한다. 한편 은행의 명성이나 평판이 훼손되는 것은 경제적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일부 은행들이 위험한 금융상품을 손쉽게 팔 수 있던 것은 그 은행들의 평판에 힘입은 것이기도 하다는 점은 앞에서도 언급했다. 안전한 상품들을 주로 취급하고 고객들의 신뢰를 저버리지 않을 것이라는 은행들의 평판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수많은 고객과의 거래 관계 속에서 조금씩 만들어진 것이다.

은행의 평판은 은행 영업을 수월하게 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무형자산 가운데 하나이다. 일부 학자들은 평판자본(reputation capital)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금융자본(financial capital)과 비슷하면서도 일부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 평판자본은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반면 순식간에 허물어질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한 은행의 평판 훼손이 다른 은행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번에 문제 되지 않은 다른 은행에 가서 금융상품을 살 때에도 더 긴장하게 되지 않겠는가. 당장 은행의 파생상품 판매를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그나마 남아 있는 은행권의 평판자본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하책이라고 생각된다.

오히려 과제는 앞으로 은행들이 고객에게 충실한 설명을 통해 좋은 금융상품을 판매하도록 어떻게 유도하느냐이다.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이는 결국 한국의 은행산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평판자본을 더 쌓아야 글로벌 은행들과 경쟁할 수 있지 않겠는가. 아마도 출발점은 불완전판매나 법규 위반에 대한 엄격한 검사와 중한 처벌이 될 것이다.
2019-10-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