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산호 번역가
김유담 작가의 ‘이완의 자세’에서 이 구절을 읽다가 나도 모르게 빵 터졌다. 그와 동시에 나도 비슷한 이유로 불가마 속에 집어넣고 싶었던 과거의 얼굴 몇몇이 얼핏 떠올랐다 이내 사라졌다. 물론 굳이 그런 수고를 할 필요도 없이 그들은 빛의 속도로 “나와 무관한 사이”가 됐지만.
세신사이자 싱글맘인 혜자와 무용하는 딸 유라의 이야기를 담은 이 소설은 놀랍도록 우리 모녀의 이야기와 닮아서 책장을 넘길 때마다 고개를 주억거리거나 무릎을 치며 읽었다. 가장 크게 공감이 된 부분은 유난히 단정한 용모 덕분에 그럭저럭 평탄하게 살던 혜자가 한 번의 불운으로 목욕탕 때밀이가 되지만 종내에는 아파트와 차까지 장만하고 딸을 무용가로 키워 낸 것이었다.
유난히 외모가 단정했던 우리 엄마 역시 몇 번의 불운 끝에 청소 노동자가 됐지만 나와 동생을 대학 보내고, 서울 변두리지만 아파트까지 장만했다. 그런데 가진 것 없이 몸이 부서져라 일해서 자식들을 버젓이 키우고 서울에 아파트까지 장만한 엄마들과 달리 배울 만큼 배운 딸들의 삶은 소설에서나 현실에서나 안정을 찾지 못했다.
소설 속 유라는 처음부터 예술가로서 한계가 명확했고, 그것을 넘어설 의지도 박약했다고 술회한다. 그래서 무용을 그만두려 하지만 자신이 과연 무엇이 될 수 있을지, 뭘 해야 할지 알지 못한다. 나 역시 초등학교도 제대로 못 나온 엄마가 공부하라고 외국까지 보내 줬지만 엄마가 꿈꾸던 교수는 되지 못했다. 번역하고 글 쓰면서 전세 난민으로 떠돌며 죽기 전 단 한 번이라도 지상에 굳건하게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감각을 느낄 수 있을까 고민하는 게 고작이다.
모녀들의 이런 차이는 대체 어디서 기인할까? 고생고생하면서 억척스럽게 살아온 엄마들이 딸들을 너무 곱게 키워서? 아니면 시대 탓인가. 어떻게든 일하려 들면 일자리가 있었고, 요새처럼 다양한 품목의 생활비와 교육비와 품위 유지비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 힘들게 한 푼 두 푼 모은 돈의 은행 이자가 10퍼센트에서 20퍼센트에 달하는 고도 성장기를 살아온 엄마들의 시대와 딸의 시대가 달라서일까.
그러다 얼마 전 딸과 이런 대화를 나누게 됐다. 작년에 고3이었던 딸은 병이 나서 입시도 제대로 보지 못한 채 어영부영 학교를 졸업하고 요즘은 진로 고민에 밤잠을 못 이룬다.
그런 딸이 느닷없이 성우 학교를 가고 싶다고 선언했을 때 나는 이렇게 말했다. “너 엄마 봤지? 엄마가 하루 중 가장 오랜 시간 하는 게 뭐니? 번역이잖아. 그걸로 우리가 그동안 먹고살았지. 만약 엄마가 번역을 싫어했다면 엄마 인생이 얼마나 우울하고 답답했겠니? 그러니 너도 하루 종일 해도 좋아할 수 있는 일을 선택해. 그게 성우일지는 모르겠다만 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다시 찾아보면 돼.” 이렇게 말하는데 문득 엄마가 떠올랐다.
소설 속 유라가 억울한 일을 당하면 대차게 대거리하는 엄마처럼 되고 싶다고 하자 혜자는 쓴웃음을 지으며 말한다. “나처럼 살면 나처럼 말할 수 있지. 그러니까 넌 나처럼 살지 마.” 우리의 엄마들이 대차게 살아왔기 때문에,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아온 것이 아니라 그저 자식새끼들과 먹고살겠다고 온갖 굴욕과 고생을 인내하며 살아왔기 때문에 유라와 나는 좋아하는 일을 시도하며 살아올 수 있었다.
다 엄마 덕분에 딸에게 대차게, 야무지게 사는 인생은 보여주진 못했어도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먹고사는 인생을 보여줄 수 있게 됐다. 소설 속 유라도 엄마가 염원하던 무용가가 아니더라도 결국 자기가 원하는 인생을 찾아 뚜벅뚜벅 걸어가지 않았을까. 강한 엄마를 보며 자란 딸은 강해질 수밖에 없으니까. 이런 고마운 엄마에게 어버이날을 맞아 분홍색 카네이션을 사드려야겠다. 현금 봉투도 살포시 꽂아서.
2021-05-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